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18320 
병원 및 관련시설의 특허출원제도 개선방안 

= Review of patent eligibility of hospitals and related facilities

  • 저자[authors] 차성민(Cha, Seong-M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09-32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출원인 적격,특허 출원,특허,경제적 이용가능성,권리능력,Applicant Eligibility,Patent Application,Patent,Economic Availability,Intellectual Property

초록[abstracts]
[특허청은 특허 행정의 효율화를 위해, 특허고객번호 발급 및 관리에 관한 기본 사항을 내용으로 하는 「특허고객번호 발급 및 관리지침」을 제정‧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지침에 따르면, 국·내외 자연인과 법인, 국가기관에만 출원인 적격이 인정된다.    그러나 사회가 발전하고 경제활동의 양태가 복잡해지면서, 법인이 아니면서도 실제적으로 의미 있는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허 발명과 이를 이용한 사업화 등을 하는 다양한 주체들이 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독립적인 법인이 아닌 분사무소 형태로 운영되지만, 본원과 다름없는 보건의료행위와 연구개발 활동을 하는 주체들이 있다. 또한 최근의 사회적 필요에 의해, 보건의료 분야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보육센터 설립 움직임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체들은 권리능력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연구개발 활동이나 창업 활동 중 발생하는 발명에 대해 자신의 이름으로 특허 등의 출원이 불가능하다.    최근 국회는 특허법 등 산업재산권법의 개정을 통해 네 가지 유형의 투자조합에 대해서 출원인 적격을 확대 인정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국의 사례를 보면, 우리의 경우보다 넓게 출원인 적격을 인정하고 있다. 더욱이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ICT를 비롯한 과학기술의 발전이 보건의료 분야에 접목됨으로써, 우리의 생명과 신체의 기능을 강화시키기나 결함을 보완해 줄 여러 가지 발명들을 장려한다는 관점에서, 분사무소 형태의 병원이나 병원 중심 창업보육센터 등에도 출원할 수 있는 길을 입법적으로 열어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atent administration, the Patent Office has enacted and operates the "Guidelines for Issuance and Management of Patient Account Number", which is the basic guideline on issuance and management of patent number. According to this guideline, however, only national and foreign persons, national and foreign legal entities and national entities are eligible for the applicant.    As society develops and economic behavior becomes more complicated, there are a variety of subjects that are doing economic activities. But they are not legal entities. In the field of health care industry, they operate in the form of a branch office and are not independent corporations, but conduct health care activities and R&D activities. In addition, due to recent social needs, there is also a trend to establish a business incubator center to revitalize start-ups in the health care field. However, since such entities are not recognized as entitled to rights to apply for their patents. This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apply for patents in their own name to inventions that get through R&D activities or business start-up activities.    Recently, the National Assembly is trying to expand the applicant"s eligibility for the four types of investment associations through the amend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such as patent law. However, there are some countries that have recognized the applicant"s qualification, in addition to the person and legal entity, and some of the subjects which a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Furthermo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ing ICT, has been integrated into the field of healthcare, and from the perspective of encouraging various inventions to reinforce human life and body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legally make a way to apply for a hospital or hospital-centered starts-up incubator.]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국내 특허 출원 적격 기준  Ⅲ. 법인이 아닌 분사무소 형태의 병원  Ⅳ. 병원 중심 창업보육센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0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2014  51
» 9 보건의료 병원 및 관련시설의 특허출원제도 개선방안 / 차성민 2018  51
4506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4505 9 보건의료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영희 2013  52
450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와 질에 대한 연구 / 최명주 2008  52
450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에 관한 한국인의 주관성 연구 / 심형화 2011  52
4502 9 보건의료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 임지혜 2017  52
4501 14 재생산 기술 불임 남성 배우자의 시험관 아기 시술 경험 / 이윤정 2004  52
4500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2018  52
449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4498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4497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과 연명의료결정법 현장에서 체감하는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 / 김순용 2018  52
4496 12 낙태 낙태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 분석 / 장동익 2018  52
449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과 일차의료 / 조동찬 2017  52
4494 2 생명윤리 초등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한 파일럿조사 / 박주현 외 2017  52
449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제도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 / 정영철 외 2013  52
4492 23 연구윤리 “황우석” 관련 논문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 김만재 외 2016  52
4491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2015  53
4490 9 보건의료 2013년 주요 의료 판결 분석/이동필 외 2014  53
4489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