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34005 
유전자혁명, 생명의 지속가능성 그리고 책임윤리 

= Genetic Revolution, Sustainability of Life and Responsibility Ethics

  • 저자[authors] 김문정(Kim Moon-je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2[2016]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8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H. 요나스,책임윤리,GMO,지속가능성,생명,H. Jonas,responsibility ethics,sustainability,Life

초록[abstracts] 
[H. 요나스는 현대 과학기술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인간을 포함한 전 지구적 생명체의 미래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를 철저하게 숙고한 철학자이다. 그는 생명체가 지닌 본래적 자기목적, 즉 살기 위해서 능동적으로 의욕하고 애쓰는 자기목적을 통해 생명의 절대적인 가치를 확인하고, 이를 책임윤리의 정립을 통해서 생명의 지속성을 실현시킨다. 이때 인간은 생명의 본래적 가치를 보전하고 생명을 지속시켜야 할 의무를 떠맡아야 한다. 따라서 현세대에게 요청되는 기술적 활동은 자연환경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리고 미래세대가 존속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구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요나스는 생명에 대한 책임을 사후적으로 부과하는 과거지향적인 책임을 넘어 미래적 사태에 대한, 즉 아직 행해지지 않은, 그러나 행해져야 할 것에 대한 책임으로 이끌어 낸다. 이는 마치 부모가 신생아에 대해 가지는 책임처럼 총체적이고 연속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책임이다.    이러한 요나스의 책임윤리의 관점에서 GMO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GMO는 지속가능한 생명을 위태롭게 만드는 먹거리로서 안정성의 위협, 종의 다양성의 위협, 환경의 위협 등 오늘날 우리 인류에게 닥친 위기들을 더욱 부추긴다. 요컨대 인간의 능력과 자연환경의 수용 범위를 훨씬 넘어선 GMO는 인류를 포함한 생명공동체의 공존과 상생을 위협한다.

H. Jonas is a philosopher who have been interested in and thought over the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and problems related to human future. Briefly, he emphasizes the following in his responsibility ethics. First af all, humans should respect the value of life and take charge of the duty to maintain it. Therefore, humans should keep pursuing the technological activities that are needed to modern humanity, within the scope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is acceptable and the future generation can survive. And the current generation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precautionary principle", which think proactive responsibility as well as reactive responsibility. This means that the current generation should be able to predict and prevent the results of the possible actions in advance, in order to avoid serious crisis. Lastly the current generation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as the creator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like responsibility parents take for their newborn, That is, newborn survival entirely depends on their parents. At this time, parental responsibility is collective, continuous and future-oriented. We current generation should take over this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generation.    Above all, ‘GMO’ which threatens the right and existence of the next generation is never sustainable food. That is to say, GMO that goes beyond human"s ability and natural environment"s capacity threatens the consistent existence of ecosystem including human species. Also, only with the pres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we can never expect what kind of damages and threats GMO will give to human beings and ecosystem. In other words, GMO requires the responsibility which is beyond the creator"s ability. In short, GMO threatens coexistence and win-win of biotic community]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1. 시작하면서  2. GMO, 윤리적 반성이 필요하다  3. H. 요나스, ‘책임윤리’를 요청하다  4. 결론을 대신하며: 요나스의 책임윤리 관점에서 GMO의 윤리적 검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08 18 인체실험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임상시험과 피험자보호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14  83
4007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2016  83
400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양소라 외 2017  83
4005 9 보건의료 바이오뱅크 내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 / 정창록 외 2017  83
4004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패턴 / 허정미 2018  83
400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대리인 지정제도 도입방안 모색 / 김보배 외 2018  83
400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2018  83
4001 19 장기 조직 이식 해외원정이식의 현황과 대응방안 / 안형준 외 2016  83
4000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 대중교통 공공성 확보를 위한 쟁점과 개선방향 / 김규옥 2019  83
3999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에 있어서 불교 실천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한명숙 2014  83
3998 19 장기 조직 이식 각막기증 및 이식 활성화를 위한 법제 연구 / 배현아 2010  84
3997 1 윤리학 인간의 시점에 대한 우리 법의 입장 고찰 / 손명세, 유호종, 이경환 2002  84
3996 5 과학 기술 사회 Nanotechnology, Governance, and Public Deliberation: What Role for the Social Sciences? 2005  84
3995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 김원제 2016  84
3994 9 보건의료 식약청의 바이오의약품 분야 평가기반 연구현황 / 유시형 2011  84
3993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의 발달을 둘러싼 현대사회의 법적 과제 -대리모 및 대리출산을 중심으로 / 함철훈 2003  84
399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399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3990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이영호, 송영민 2005  84
3989 2 생명윤리 이익동등고려의 원칙의 수용 가능성 / 이기훈 2016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