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韓國老年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75422 
한국노년학의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 연구동향 

= Research Trend of the Healthcare and Medical Care for Elders in th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 저자[authors] 김현숙(Kim Hyun Sook),박연환(Park Yeon Hwan),김영선(Kim Young S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韓國老年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8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노년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05-723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38
  • 주제어[descriptor] 한국노년학,건강,의료,연구동향,Korean Gerontological Society,Healthcare,Medical care,Research trend

초록[abstracts] 
[In this study we review the selected articles on elderly health and medical ca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JKGS) in the last 40 years, and mak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gerontological health and medical care issues. Of all the 40 year publications from volume 1 (1980) to 38 (2017), we first examined the 30th anniversary review on the subject of gerontological nursing care and healthcare policies published in JKGS from 1980 (vol. 1, No. 1) to 2008 (vol. 28, No. 2), and reviewed recent 237 researches of this decade (out of all 655 articles from 2008, vol. 28, No. 3 to 2017, vol. 38, No. 4). We could find the following trend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primary authors in the past 10 years revealed that those in public health, nursing and other health-related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areas have dealt the subjects focusing on physical health while those in social welfare mostly on mental health. That is, physical health has been the prime subject of researches in the health and medical care area. Secondly, in the same perio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accounted for 89.9%, which is similar to the trend of the first 30 years 81.5 %.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 studies were only 11 case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comprising 33.3% among them. Thirdly, the non-experimental researches in the past 10 years comprise 65.4%, which was 82.7% in 1980 2008 period, indicating the increasing trend in experimental researches to deal with the issues in medical and healthcare fields. Lastl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es were mostly the elders who are healthy, residents of city areas, or home dwellers, and 60% of them were over 65 years old in the past 10 years while the proportion was 42.7% in the previous review period. 81.6 % of the researches in the past 10 years was dealing both genders, slightly decreased trend compared to 88.5% of the previous review period. This study reveals that the researches in non-experimental physical health remains the main stream of JKGS despite the efforts by some researchers to diversify the methods and subjects. Systematic and in-depth researches employing multidisciplinary, qualitative, longitudinal and meta-analytical approaches are called for to guide the gerontolgical health issues with preventive and proactive persp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노년학」 학회지에 40년간 게재된 보건ㆍ의료ㆍ건강분야 연구의 동향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한국노년학」 연구의 다학문적 특성과 관련하여 보건ㆍ의료ㆍ건강 부분이 나아갈 방향을 조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노년학 창간호부터 2017년 12월 말까지 40년간 게재된 논문 중 2008년 30주년에 「한국노년학」 1권(1980년)부터 28권(2008년) 2호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건강 간호분야 및 노인보건정책 논문 분석 연구를 검토하고, 최근 10년간 게재된 논문(2008년 3호~ 2017년 4호) 총 655편 중 237편(전체의 36.2%)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동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최근 10년간의 연구 주제를 대표저자의 전공별로 분석한 결과 보건, 의료, 간호, 체육 분야 저자들은 주로 신체적 건강 주제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복지분야 저자들은 정신적 건강 주제의 연구를 주로 다뤘다. 즉, 전반적으로 보건ㆍ의료ㆍ건강 영역에서는 신체적 건강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둘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최근 10년간 연구에서는 양적연구가 89.9%를 차지하고 있었고, 지난 30년간(1980-2008)의 연구에서도 양적연구가 81.5%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수행 된 질적연구는 총 11편으로 나타나 양적연구에 비해 비중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커스그룹 인터뷰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3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은 지난 30년간의 분석에서는 비실험연구가 82.7%였지만, 최근 10년간의 연구에서는 비실험연구가 65.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실험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은 최근 10년간의 연구에서 건강한 노인, 도시거주 노인, 재가 노인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대상노인의 연령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60.0%로 지난 30년간의 연구에서의 42.7%보다 그 비중이 증가하였다. 대상노인의 성별에 따라 연구동향은 최근 10년간의 연구에서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81.6%로 나타나 지난 30년 연구의 88.5%에 비해 조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최근 10년간 보다 다양한 연구 접근이 시도되긴 하였으나 여전히 신체건강을 주제로 비실험연구설계를 적용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향후 노인 건강증진연구에서 통합적ㆍ다학제적 접근 및 예방적ㆍ사전적 관점의 필요성과 함께 급속한 고령화를 경험하고 초고령화가 임박한 한국적 상황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종단 연구, 질적 연구,메타 분석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설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의 노년학연구 동향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8
247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19
246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0
245 24 기타 나고야 의정서 발효와 산업계 영향/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5  1130
244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2017  1133
243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4  1135
242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2013  1137
241 1 윤리학 베이비박스의 실태와 대안 / 김형모 2017  1137
240 14 재생산 기술 원치 않은 아이에 따른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원치 않은 임신, 원치 않은 출산, 원치 않은 삶 / 이은영 2009  1142
239 2 생명윤리 현행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내 생명윤리 관련 주제 분석과 고등학생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 김현우 2001  1142
238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 최경석 2014  1144
237 9 보건의료 알츠하이머 치매 약물치료의 현황과 미래 / 김성윤 2018  1144
236 1 윤리학 트랜스휴머니즘의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김명은 2018  1146
235 9 보건의료 의약품 중 금속불순물 관리의 국제조화 : ICH Q3D 가이드라인 / 김은경 2015  1149
234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조명 / 김평관 2005  1150
233 15 유전학 독일에서의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입법 동향 및 최근의 논의 · 그 시사점 : 유전자정보 활용 대상범위의 측면에서 / 이정념 2014  1150
232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2008  1152
23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형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2005. 1. 1.)을 중심으로 / 김진희 2005  1155
230 9 보건의료 국내 제약 기업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시험 단계별 개발 기간 분석 / 김잔디 2018  1155
22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정신적 고통에 관한 연구 / 박춘선 2013  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