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25671 
보건의료산업관련 입법영향요인 분석: 질적비교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 Determinants of Industry-related Healthcare Legislation: a qualitative comparative study

  • 저자[authors] 한승헌 ( Seungheon Han ), 황서은 ( Seo Eun Hwang ), 허종호 ( Jongho Heo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보건의료산업법, 입법 성과, 지방의료원법, 원격의료법, 질적비교분석방법, healthcare laws, legislative outcomes, National Assembly, Korea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의료산업 관련 법안의 입법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조건 조합이 무엇인지 질적비교분석방법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18-19대 국회 보건의료 산업관련 59개 법안을 대상으로 “확장된 다중흐름이론”에 근거하여 원인조건(변수)을 설정하고 어떠한 원인조건 조합이 법안가결에 결정요인이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조직적 정치활동 찬성, 과학적 정치활동 부족, 경제적 정치활동의 반대(유보), 정치가들의 정치활동 찬성이라는 조합의 경우에 보건의료산업법안이 가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의 구체적인 맥락과 원인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체법안 및 공공성 법안이 가결되기 위한 조건조합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지방의료원법 및 원격의료법안에 대하여 사례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기존 사례연구의 한계인 연구결과의 제한된 일반화 문제를 극복하는 동시에, 기존의 양적정책 연구의 한계인 현실적인 정책 제언을 보완하였다. 향후 기타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관련법안들의 입법화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mbinations that determined healthcare industry-related legislations in the 18th and 19th Korea National Assembly. We analyzed 59 legislations using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Extended multiple streams theory. We found that the healthcare industry bills were more likely to be approved in necessary conditions that organizational politics were favored; scientific politics was lack; economic politics opposed or reserved; and politician’s politics was supportive. To better understand the study finding, we additionally conducted a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bills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and telemedicine implement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existing literature by overcoming generalization embedded in case studies and proposing legislative suggestions in reality that quantitative studies are rarely achieved. Future study may need to apply the model to the other legislations including social welfare bill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628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존엄의 비교법적 고찰과 그 시사점 / 강승식 2013  37
4627 9 보건의료 인터넷 의료광고의 규제방향에 대한 법적 검토 / 이경권 2008  37
4626 9 보건의료 의료데이터 공유 및 활용 서비스를 위한 보안/프라이버시 요구사항 2010  37
4625 1 윤리학 성공적인 지능정보행정 도입을 위한 정부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대성 외 2017  37
4624 9 보건의료 개정 의료분쟁조정법의 전망과 과제 / 이얼 외 2017  37
» 9 보건의료 보건의료산업관련 입법영향요인 분석: 질적비교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 한승헌 외 2018  37
4622 15 유전학 인간 유전정보 보호와 시민참여 / 이영희 2003  38
4621 15 유전학 23andMe: how to make (a lot of) money out of your customers / Jordan, Bertrand 2015  38
4620 9 보건의료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 장우권 2016  38
4619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I) / 김한나 2016  38
4618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017  38
4617 9 보건의료 보건/의료산업 융합에 따른 의료정보화 시스템 연구 / 이동우 2014  38
4616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미지 2016  38
461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 유효현 외 2017  38
4614 22 동물복지 동물유전체 빅데이터 공개로 민관협업체계 조성 및 산업 활성화 / 임다정 2018  38
4613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2008  38
4612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지정토론문 / 김태훈 2018  38
4611 19 장기 조직 이식 Death Determination in Pediatric Organ Donation / Shemie, Sam D. 2016  39
4610 9 보건의료 바이오 및 제약산업의 글로벌 지식네트워크 구축방안 / 김형주 2010  39
4609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와 건강인의 신체 활동 비교/한아름,박정윤 2014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