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저스티스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56825 
과학적 부성(paternity) 도입을 통한 친자법의 개혁 

= Reform of Parentage Law through Paternity Scientifically Proven

  • 저자[authors] 오병철(Oh, Byoung Cheol)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저스티스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166[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법학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6-20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부성추정,혼인 중의 자녀,혼인 외의 자녀,유전자 검사,과학적 부성,Assumption of paternity,a Child born within marriage,a Child born outside the marriage,DNA testing,Paternity scientifically proven

초록[abstracts] 
[2015년 당시 민법 제844조 제2항의 부성(paternity) 추정에 관한 규정이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이루어졌다. 그 후 2017년 민법 개정이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자녀를 출산한 어머니의 혼인 배우자만을 아버지로 추정하는 규범적 부성에 얽매여 있다. 개정된 민법 규정도 다음과 같은 점에서는 현대사회의 이념과 과학적 성취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첫째로 유전자검사를 통한 과학적 부성증명을 전혀 민법에 도입하고 있지 않다. 둘째로 임신후 200일 이내의 태아가 생존해서 출생하는 의학적인 사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규범적 부성추정은 혼인 후 200일후 출산에만 인정되고 있다. 셋째로 여전히 혼인 중의 자녀와 혼인 외의 자녀를 구분하는 전근대적인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따라서 부성추정의 전근대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민법의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로 유전자검사를 통한 과학적 부성증명에도 규범적 부성추정의 보충적인 법적 가치가 주어져야 한다. 둘째로 부성이 규범적으로 추정된 자녀인가 또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자녀인가에 따른 부성을 다투는 방법의 차이만을 두고, 혼인 중의 자녀인가 혼인 외의 자녀인가의 전근대적 구분은 폐지한다. 셋째로 혼인 중의 자녀와 혼인 외의 자녀의 구분을 전제로 하는 준정 제도를 폐지한다. 넷째로 혈연관계의 판단이 과학적으로 용이하게 증명될 수 있으므로, 임의인지는 폐지하고 강제인지로 단일화한다. 다섯째로 혼인 외의 자녀 개념을 폐지하면, 가족관계등록부에도 그러한 구분은 삭제한다. 이러한 민법 개정을 통해 현대적 가족 형태와 과학적 성취를 반영하고 자녀의 복리라는 가족법의 이념을 더욱 온전히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In 2015,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had concluded that article 844 ⓶ of the Civil Law, the assumption of paternity, is unconstitutional. Even though the Civil Law was revised in 2017, the law is still bounded by the normative paternity that assumes only the biological mother’s spouse as the father of the child.    The following reasons explain why even the revised civil law does not fully grasp today’s societal beliefs and advancement in scientific research. First, the scientific proof of paternity through DNA testing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by the civil law. Second, even though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a child born within 200 days from conception is successfully raised, the current law assumes normative paternity only after 200 days of marriage. Third, the civil law adheres to a pre-modern stance that discriminates a child born within and outside marriage.    Therefore, in order to break the pre-modern convention of paternity assumption, the following revisions must be made in the Civil Law. First, secondary legal worth must be granted to the normative paternity assumption and the proof of paternity through DNA testing. Second, while establishing the distinction of whether a child’s paternity is normatively assumed or scientifically proven, the revision must repeal the pre-modern distinction between a child born within and outside marriage. Third, legitimation that premises this distinction must be deleted from the Civil Law. Fourth, since biological relations can be proved scientifically, recognition through declaration by father should be repealed and replaced by a recognition through litigation. Fifth, as the concept of a child born outside the marriage gets abolished, such distinction must be deleted from family register. These revisions of the Civil Law will embrace the modernized family structures and scientific accomplishments to realize the principles of family law such as welfare of children.]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요지  Ⅰ. 서론  Ⅱ. 현행 민법상 부성추정 규정의 검토  Ⅲ. 과학적 부성의 도입 방안  Ⅳ. 혼인 중의 자녀와 혼인 외의 자녀 개념의 완전한 폐지  Ⅴ. 인지제도의 정비  Ⅵ. 입법론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68 9 보건의료 인공지능의 의료혁신? : 길병원의 왓슨 도입을 중심으로 / 이다은 2017  71
41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병원윤리위원회 역량강화 교육모듈 개발 / 이강숙 2012  71
4166 5 과학 기술 사회 남성돌봄자 증가와 젠더질서의 역동 : 일본남성의 노인돌봄을 둘러싼 담론과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 지은숙 2017  71
4165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2018  71
4164 19 장기 조직 이식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인공장기 모델 / 이상훈 2018  71
4163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2017  71
4162 9 보건의료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실습 교재 개발 / 은진수 2018  71
4161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416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 민순 외 2016  71
4159 9 보건의료 비식별화 방식을 적용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연구 : 보건의료정보를 중심으로 / 김은수 2018  71
4158 15 유전학 클라우드 기반의 유전체 분석 방법 / 문지혜 외 2017  71
41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 정진명 2019  71
4156 9 보건의료 문케어, 의료비 부담 낮출 수 있을까 / 홍석철 2019  71
4155 19 장기 조직 이식 Mental Health Among Living Kidney Donors: A Prospective Comparison With Matched Control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2015  72
4154 9 보건의료 공공분야에서의 빅데이터(Big Data) 활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황대욱 2012  72
41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의 법률적 쟁점 및 향후과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정유진 2017  72
415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2011  72
4151 4 보건의료 철학 장애인 건강권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 장애인 건강 주치의를 중심으로 / 임종한 2017  72
4150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2
4149 9 보건의료 알츠하이머병에서 임상약물시험의 최신 동향 / 강희영 외 2015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