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지과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35951 
죽은 사람의 마음 

= Theory of the Dead’s Mind - Does the Mind of the Dead Transcend Time and Space? -

  • 저자[authors] 김의선(Euisun Kim),김성호(Sung-Ho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지과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9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인지과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2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심신문제,심신이원론,마음지각,죽은 사람의 마음,mind-body problem,mind-body dualism,mind perception,mind of the dead

초록[abstracts] 
[현대 신경과학은 인간의 마음이 신체기관인 뇌 활동의 산물이며, 뇌의 활동이 멈추면 마음의 작용도 함께 정지한다는 심신 일원론을 지지한다. 그러나 상당수의 일반인은 여전히 일원론적 입장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마음영속성과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죽은 사람의 마음이 단순히 작동정지하거나 약화된 마음이 아니라, 살아있는 사람의 마음과 구별되는, 시공간의 물리적 제약을 초월하는 마음으로 간주되는지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은 주인공이 교통사고 후 사망하거나, 생존하거나, 또는 뇌사상태가 되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읽은 뒤, 각 상태의 주인공이 보유한 ‘일반적 정신능력’과 ‘초월적 정보수집 능력’수준을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주인공이 사망한 조건에서는 주인공의 일반적 정신능력이 높다고 평가할수록 초월적 정보수집 능력도 높다고 응답하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나, 생존 조건에서는 이러한 경향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죽은 사람과 산 사람에게 기대되는 정신능력의 속성이 서로 달라서, 죽은 사람이 소유한 높은 일반 정신능력은 초월적인 능력을 함축함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참가자의 종교적 믿음 또한 사망한 사람의 초월적 정보수집 능력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Current neuroscience views the mind-body problem from the monistic perspective which claims that the human mind is the result of brain activity and that the mind shuts down when the brain does. However, a considerable number of lay people still believe in the existence of the soul and the afterlife, concepts that are hard to explain from the monistic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lay people think that the mind of the dead is capable of exceeding the physical constraints if they believe that such mind exists. After reading one of three vignettes which describes the state of the protagonist as alive, dead, or brain dead,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e protagonist"s general mental capacity and transcendental ability to obtain new information. The participants rated that the dead protagonist had more ‘transcendental ability to obtain new information’ than the alive one if they evaluated high general mental capacity to the protagonist. In addition, unlike the alive condition, in the dead and the brain dead condition,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mind capacity rating and the transcendental ability rating. The results suggest that lay people expect the mind of the alive and the dead to be different, as they believe the latter’s general mind capacity connotes transcendental ability. We also found that the participants" religiosity affected their beliefs about the transcendental ability of dead person.]

목차[Table of content] 
타고난 이원론자로서 인간  마음에 대한 추론과 죽은 사람의 마음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본 연구의 물음: 시공간을 초월하는 죽은 사람의 마음  방법  결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28 9 보건의료 의료기술평가를 이용한 근거중심 의사결정제도 / 안정훈 2017  55
227 20 죽음과 죽어감 생사학적 관점에서 본 “좋은 죽음” / 김명숙 2015  55
226 5 과학 기술 사회 정맥을 이용한 생체인증 방식의 동향 / 유동현 2015  55
225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의료광고 수행특성 / 이동우 2015  55
224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근거한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연구 / 신혜원 2011  55
223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과제 / 김범준 2016  55
222 15 유전학 유전체(Genomics) 연구의 윤리 / 강병수 2007  55
221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4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은 사람의 마음 / 김의선 외 2018  54
219 9 보건의료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제 / 김민중 2009  54
21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연상시키는 기부 캠페인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 김재휘 외 2015  54
217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4
216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의 활용과 인간공학적 의미에 대한 문헌연구 / 박희석 2018  54
21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백경희 외 2018  54
214 9 보건의료 의약품 시판허가심사에 있어 정보공개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김나경 2018  54
213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 인공지능 시장 진출 전략 연구 / 박성철 2018  54
212 15 유전학 발현 유전자 분석을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 이병욱 외 2015  54
21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4
21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성 개념의 명료화를 통한트랜스휴머니즘의 비판적 고찰 / 정연재 2015  54
209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 김소윤 2017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