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춘·추계 학술대회 (KAS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08009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 Counselling, Education, and Monitoring for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 저자[authors] 전경옥 ( Jeon Kyung Oc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춘·추계 학술대회 (KASL)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8No.1[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간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63-36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초록[abstracts]

[성인에서 간이식의 주된 적응증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이며 그 외 C형간염 바이러스로 인한 간경변, 간세포암, 알코올 의존성 간경변 등이 있다. 그 중 B형 바이러스성 간경변이 가장 많은 원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들어 알코올 의존성 간경변으로 인한 간이식이 증가하고 있음을 여러 보고들에 의해 알 수 있다. 하지만 알코올 의존성 간경변의 간이식에 있어 뇌사장기의 경우 공공성의 문제, 수혜자의 수술 전 단주 기간 등 여러가지 면에서 논란의 여지를 갖고 있는 측면이 있다. 알코올 의존이나 남용으로 인한 정신질환은 우리나라 정신장애 중 불안장애 다음으로 높은 유병율을 갖고 있다. 2001년부터 정신질환 유병율에 대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간이식 환자들의 원인질환 분류에 있어 알코올 의존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하는 환자는 증가 추세에 있다. KONOS 연보에 따르면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는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각각 9.88%, 12.6%, 14.8%, 16.8%, 19.5% 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하는 환자가 증가할수록 간이식 후 재 음주의 방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재 음주로 인한 이식장기 소실 등의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 보고된 연구에 의하면 알코올 사용 5.6건/100명/년, 과음이나 폭음 2.6건/100명/년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3 5년동안 약 3-40%의 간이식 환자가 음주를 한다는 보고도 있으며 정신질환성 알코올 의존자의 비율도 약 10-15%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간이식 후 재음주 방지를 위한 교육과 모니터링은 이식장기 소실 예방을 위해 간이식 후 환자 관리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것이다. 간이식 후 재음주에 대한 모니터링과 교육, 상담 등은 수술 후 환자와 간이식 팀뿐만 아니라 가족까지 포함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교육이나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러 연구에서 알코올 의존환자 가족의 공동의존에 대해 보고하고 있는데 즉, 알코올 의존 환자의 경우 그 가족들 또한 알코올 의존 환자와의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건강하지 못한 삶의 방식을 유지시켜나가는데 이를 공동의존이라 한다. 공동의존이 생긴 환자 가족들은 인지와 정서 기능이 알코올 의존 환자를 중심으로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가 이식을 받은 후 익숙해져 있던 역할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서 목표를 상실했다는 생각이 들고 공허감을 느끼게 된다고 한다. 이 때문에 환자의 재음주에 대해 방관할 수 있는 성향이 있다고 하는 연구들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2013년 보고에 의하면 알코올 의존환자의 수술 전 단주 프로그램보다 간이식 후 단주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음주 재발율을 낮추었다는 보고도 있는데 교육의 강도는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러 연 구를 통해 알코올 의존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을 위해 수술 후 재음주 예방을 위해 간이식팀, 가족, 환자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적극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임을 알 수 있다. 지속 적인 음주 모니터링과 함께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재활치료인 동기 강화치료, 인지행동치료, 자조집단을 통한12단계 치료, 개인 상담 치료, 가족 상담 치료가 시행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재정적인(보험수가) 문제와 환자들을 참여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우선 해결되어야 된다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알코올 의존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의 graft survival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728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에 대한 페미니즘 담론 연구/최영주 2008  252
2727 14 재생산 기술 절박유산과 정상임부 및 시험관아기시술 환자에서 초기임신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 이진용 1997  252
2726 14 재생산 기술 산부인과 전문병원 내원환자의 난임 특성과 보조생식술 유형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김윤정 2016  252
272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이후의 삶: 노동하지 않아도 행복한가? / 현남숙 2016  252
27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의 중단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 석희태 2009  252
272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김주영 2003  252
272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평가 중에 발생한 심장사 후 장기기증에 의한 신장이식: 단일기관 장기추적 결과 / 허나윤 외 2015  252
2721 1 윤리학 개인의료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연구 / 박인경 2007  252
2720 9 보건의료 문재인정부 복지정책의 전망과 과제 - 한국 복지국가의 경로를 바꿀 것인가? - / 김연명 2018  251
271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1
271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적안녕 및 삶의 질과의 관계 / 박미영 2015  251
2717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1
2716 1 윤리학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 권양섭 2016  251
2715 8 환자 의사 관계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2015  251
2714 15 유전학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2016  251
2713 16 환경 나고야 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우리나라 입장에 관한 제언/김명자, 손영현, 김혜영 2014  251
2712 9 보건의료 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격과 요양급여기준을 벗어난 원외처방행위의 위법성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09다78214 판결을 중심으로-/현두륜 2014  251
2711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1
2710 18 인체실험 KAIRB의 IRB 평가분석을 통한 국내 피험자보호제도(HRPP) 개선방향 / 최병인 2012  251
270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