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842274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 Ethical Issues Related to End-of-Life: With Focus on Life-Sustaining-Treatment Decision-Making Act

  • 저자[authors] 박상은 ( Sang Eun Par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통합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2018]
  • 발행처[publisher]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7-80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생명의 마지막 end-of-life, 죽음의 정의 definition of death, 연명의료결정법 Life-Sustaining-Treatment Decision-Making Act, 기독교 세계관 Christian worldview

초록[abstracts] 
[본 논문에서는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문제를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시행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이를 어떻게 이해하며 기독교인으로서 어떤 자세를 가져야할지 통합적인 관점에서 풀어보고자 한다. 과연 죽음이 무엇인지, 죽음의 정의에 관해 심폐사, 뇌사, 세포사 등을 살펴보고, 필자는 불가역적인 심폐정지를 죽음의 시점으로 보는 것이 옳음을 제시한다. 아울러 뇌사를 기독교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죽음의 기준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지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안락사는 그 어떠한 형태로도 허용될 수 없으며, 이와 구분되는 연명의료 중단은 돌이킬 수 없는 임종과정에서 엄격한 기준 하에 예외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올해 초 시행된 연명의료결정법의 입법과정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이 본인의 결정을 확인하기 위해 무척 중요하며, 법안의 쟁점인 자기결정권과 연명의료중단 대상의 범위와 확대에 대해서는 매우 신중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독교가 앞장서 호스피스 운동을 활성화하고 연명의료결정법 이후 다양해지는 죽음문화에서 부활의 종교인 기독교가 주도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선도하며 죽음을 앞당기려는 생명경시풍조에 맞서 생명존중문화를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ethical issues related to end-of-life care and to explain the Life-Sustaining-Treatment Decision-Making Act from an integrative Christian perspective. Three definitions of death, hereby categorized as cardio-pulmonary death, brain death and cellular death, can lead to different views and potentially different policy decisions. The author believes that associating the point of death with an irreversible cardio-pulmonary failure is consistent with the Christian beliefs, whereas brain death theory is still under debate and scrutiny to be accepted from a biblical perspective. Euthanasia should not be allowed, but remov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separate exceptional case, given strict standards for the determination of irreversibility. ‘Life-Sustaining-Treatment Decision-Making Act’ was legislated and enforced on 4 February 2018. Both the Advance Directive and POLST are critical to the confirmation of self-determination, thence the scope of legal self-determination should be cautiously inspected and corrected, as well as the application and enforcement in clinical fields. Moreover, Christians should accordingly lead the hospice movement and develop well-dying education that thrives the sociocultural value and respect for 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74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57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62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50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54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804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74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506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86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57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5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5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25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93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46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20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60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21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