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842274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 Ethical Issues Related to End-of-Life: With Focus on Life-Sustaining-Treatment Decision-Making Act

  • 저자[authors] 박상은 ( Sang Eun Par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통합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2018]
  • 발행처[publisher]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7-80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생명의 마지막 end-of-life, 죽음의 정의 definition of death, 연명의료결정법 Life-Sustaining-Treatment Decision-Making Act, 기독교 세계관 Christian worldview

초록[abstracts] 
[본 논문에서는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문제를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시행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이를 어떻게 이해하며 기독교인으로서 어떤 자세를 가져야할지 통합적인 관점에서 풀어보고자 한다. 과연 죽음이 무엇인지, 죽음의 정의에 관해 심폐사, 뇌사, 세포사 등을 살펴보고, 필자는 불가역적인 심폐정지를 죽음의 시점으로 보는 것이 옳음을 제시한다. 아울러 뇌사를 기독교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죽음의 기준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지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안락사는 그 어떠한 형태로도 허용될 수 없으며, 이와 구분되는 연명의료 중단은 돌이킬 수 없는 임종과정에서 엄격한 기준 하에 예외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올해 초 시행된 연명의료결정법의 입법과정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이 본인의 결정을 확인하기 위해 무척 중요하며, 법안의 쟁점인 자기결정권과 연명의료중단 대상의 범위와 확대에 대해서는 매우 신중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독교가 앞장서 호스피스 운동을 활성화하고 연명의료결정법 이후 다양해지는 죽음문화에서 부활의 종교인 기독교가 주도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선도하며 죽음을 앞당기려는 생명경시풍조에 맞서 생명존중문화를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ethical issues related to end-of-life care and to explain the Life-Sustaining-Treatment Decision-Making Act from an integrative Christian perspective. Three definitions of death, hereby categorized as cardio-pulmonary death, brain death and cellular death, can lead to different views and potentially different policy decisions. The author believes that associating the point of death with an irreversible cardio-pulmonary failure is consistent with the Christian beliefs, whereas brain death theory is still under debate and scrutiny to be accepted from a biblical perspective. Euthanasia should not be allowed, but remov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separate exceptional case, given strict standards for the determination of irreversibility. ‘Life-Sustaining-Treatment Decision-Making Act’ was legislated and enforced on 4 February 2018. Both the Advance Directive and POLST are critical to the confirmation of self-determination, thence the scope of legal self-determination should be cautiously inspected and corrected, as well as the application and enforcement in clinical fields. Moreover, Christians should accordingly lead the hospice movement and develop well-dying education that thrives the sociocultural value and respect for 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8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34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문제점 / 문신용 2000  872
346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2019  873
34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2013  876
34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남기곤 2011  876
343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6
34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2008  877
341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2019  879
34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생명윤리 체험 / 이경숙 2013  881
33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정 2016  883
338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2018  885
337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5  890
336 1 윤리학 인공지능 발달에 따른 윤리학의 필요성 연구 / 이기훈 2018  891
335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33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2
333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2005  892
»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 박상은 2018  892
33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2004  893
330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2015  894
329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