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27945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저자[authors] 신재명,조기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No.2[2018]
  • 발행처[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환자안전, 환자안전법, 의료오류, 자율보고, 의무보고, 보고시스템, patient safety, patient safety law, medical errors, autonomous reporting, reporting system

초록[abstracts]
[2015년 1월 28일 제정되었던 환자안전법이 2016년 7월 26부터 시행되고 있다. 환자안전법은 환자안전문제에 있어 사후적인 민·형사상 책임추궁에 초점을 두고 있던 과거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사전적으로 의료오류(medical error)의 예방을 위해 보고시스템을 통하여 각종 오류를 수집·집적한 후 얻어진 결과물을 진료에 반영함으로써 위해 를 예방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법의 유효성을 위해서는 환자안전사고의 예방·보고·재발 방지 등을 위한 환자안전관리체계구축의 핵심적인 전제인 ‘환자안전사고의 자율보고 및 보고·학습시스템’의 활성화가 관건이다. 그리고 이 시스템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많은 양의 보고자료축적이 필수적인 전제요건이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약 17개월 동안 단 2건에 불과한 보고가 있었을 뿐이다. 외국의 선례에서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부분 적으로 의무보고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현행 자율보고시스템의 타당성과 발의되어 있는 두 개정안을 비판해보고, 부분적 의무보고시스템의 도입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The Patient Safety Act was enacted on July 26, 2016. Patient safety law is a method to prevent harm by collecting and accumulating various errors through the reporting system. Therefore, in order for this law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the autonomous reporting and reporting · learning system of patient safety accidents’. And In order for this system to be activated, a large amount of reporting data accumulation is a prerequisite. Nevertheless, there were only two reports in about 17 months. In this paper, I will criticize the validity of the current autonomous reporting system and the two proposed amendment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introduction of a partial obligation reporting system.]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환자안전법제정의 배경    2. 논의의 핵심: 환자안전사고의 보고시스템의 활성화 방안   Ⅱ. 본론    1. 환자안전의 의미와 보고시스템의 유형    2.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보고 · 학습시스템의 구조    3. 자율보고시스템의 타당성여부와 의무보고시스템의 도입   Ⅲ.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08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3
607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606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605 9 보건의료 로봇수술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직무 인식 / 김혜원 2017  583
604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2015  584
603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84
602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601 8 환자 의사 관계 형법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이얼 2013  585
60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599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2013  586
598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597 20 죽음과 죽어감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 인지에 관한 탐색 연구/강형구, 윤성민 2015  587
596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595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2011  589
594 9 보건의료 2016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 보험연구원 2016  589
593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의 현황과 정책 방향/ 황서현, 김경철 2018  589
592 20 죽음과 죽어감 법조계, 의료계, 종교계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수정 2007  590
591 9 보건의료 국제보건규칙(2005)상의 전염병 통제 보건조치와 인권의 보호 / 박진아 2012  590
590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2013  591
589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