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韓輸血學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55931 
우리나라 국가 수혈가이드라인 인지도 및 활용도에 관한 조사 연구 

= A Survey on the Awareness and Usage of the National Transfusion Guideline in Korea

  • 저자[authors] 김형석,조현정,최새롬,김준년,김솔잎,엄태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韓輸血學會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7No.2[2016]
  • 발행처[publisher] 대한수혈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5-16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초록[abstracts] 
[Background: Transfusion guidelines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appropriate use and quality assurance of blood and transfusion services. The Korean national transfusion guideline was developed in 2009 and went under full amendment in 201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racticality of the transfusion guideline in Korea.  Methods: Questionnaires about the Korean national transfusion guideline were sent by traditional mail or e-mail to a total of 1,179 clinicians, 32 academic societies, and 6 institutions.  Results: Three hundred and seventy-four answers were received; a response rate of 30.7%.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with good awareness of the guideline was 23.3%, which is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with 10.9% in 2008. Respondents with good awareness were more dependent on the transfusion guideline when making transfusion decisions.  Conclusion: There was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awareness of the national transfusion guideline in Korea.

배경: 수혈가이드라인의 제정 및 활용은 적정수혈 및 수혈서비스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한다. 2009년에 처음 발간된 국가 수혈가이드라인은 2016년에 전면 개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혈가이드라인의 인지도 및활용도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임상의사 1,179명, 학회 32곳, 수혈관련기관 6곳에 우편 및 전자우편으로 설문조사를 의뢰하였다.  결과: 374건의 응답을 받아 최종 회신율은 30.7% 로 집계되었다. 수혈가이드라인을 잘 알고 있다고대답한 비율은 23.3%로 2008년의 10.9%에 비해서 상당히 증가하였다. 한편, 수혈가이드라인 인지도가 높은 군에서 낮은 군보다 수혈에 대한 판단 시 가이드라인을 중시한다는 비율이 높았다.  결론: 국가 수혈가이드라인의 인지도는 상당히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128 14 재생산 기술 이완술이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는 불임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박점미 2000  74
4127 2 생명윤리 생명공학과 윤리 / 김명균 외 2017  74
4126 1 윤리학 논문 : 미국 로스쿨의 임상법학교육이론과 방법론 -우리나라 임상법학교육의 전망과 과제- / 전해정 2008  74
4125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 사전심사에서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연구자적 입장에서 고찰 / 고재환 2018  74
4124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문미영 외 2018  74
4123 15 유전학 유전자 차별금지 법제도 개선방안 : 비교법제도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2017  74
4122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 시행의 의의와 과제 / 이상일 2016  74
412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자율성에 관한 논의/모효정 2014  74
4120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 혁신시스템에서 규제의 역할과 새로운 방향성/ 이명화 2018  74
4119 14 재생산 기술 코호트 완결출산율 분석 결과와 시사점 / 신윤정 2019  74
4118 18 인체실험 Oversight of Human Participants Research: Identifying Problems To Evaluate Reform Proposals 2004  75
4117 5 과학 기술 사회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손진화 2009  75
4116 9 보건의료 의료인의 거짓 경력에 관한 의료광고에 대한 고찰 / 백경희 2016  75
4115 5 과학 기술 사회 손잡고 따라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기법 / 정유철, 한헌수 2009  75
411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 제도화’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윤리 신학적 고찰 / 이병근 2017  75
4113 17 신경과학 신경윤리의 성찰과 전망 / 최경석 2011  75
411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411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 임상적용에 대한 불교적 관점 / 김민주 외 2017  75
411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2016  75
4109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