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광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48948 
죽음을 연상시키는 기부 캠페인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 저자[authors] 김재휘,김진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광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5[2015]
  • 발행처[publisher] 한국광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5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5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25
  • 주제어[descriptor] 기부 캠페인, 죽음 점화, 회피 동기, 세계관 보호, 사회적 규범 메시지, 수혜자 필요 메시지, Charitable donation campaign, avoidance motive, world-view protection, social-norm focused message, victim-need focused message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기부 캠페인의 죽음 연상 맥락에 주목하고, 죽음 점화로 인한 심리적 기제를 고려한 메시지 전략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기부 캠페인에서는 수혜자의 처지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문제 상황의 처참함과 심각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주의를 끌고 동정심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부적 정서의 유발이 단순한 슬픔을 넘어 죽음의 공포와 같이 극단화되면, 기부 메시지에 대한 회피가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죽음은 인간의 실존을 위협하는 통제 불가능한 사건이므로, 기부를 포함한 어떠한 행동으로도 상황을 바꿀 수 없다고 느끼게 만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기부를 촉구하는 메시지의 죽음 현저성이 높아질 때 기부 태도 및 의도가 낮아지는 역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효과가 회피 동기에 의해 매개됨을 검증하였다. 즉, 기부 메시지 자체의 죽음 현저성을 낮추는 것이 기부 촉진을 위한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부 이슈에 따라서는 세월호 참사나 대규모 태풍 재해와 같이 죽음이 현저하게 연상될 수밖에 없는 맥락이 존재한다. 죽음 점화에 의한 사고 및 행동의 변화를 조망한 ‘공포관리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직접적인 죽음 연상 자극에 대해서 일차적으로 회피하고, 그와 동시에 무의식적으로는 자신의 세계관과 존재적 지위를 보호하기 위해 사회적 소속의 동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죽음 점화 기부 이슈의 경우, 사회적 동기에 적절히 소구할 수 있는 ‘사회적 규범 메시지’가 대개 기부 행동의 핵심 요소인 동정심을 소구하는 ‘수혜자 필요 메시지’보다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연구 2에서 죽음 점화 이슈에 대하여 두 메시지의 차별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기부 캠페인을 죽음이 연상되는 맥락으로 구체화하여 메시지 전략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focused on death-related context of charitable campaigns, and suggested a message strategy reflecting psychological copping mechanism against mortality salience. Campaigners of charitable giving often emphasize the victim's tragic situation to draw attention and magnify sympathetic reaction. Previous literature also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negative appeal in charitable campaigns. However, current study assumed that if the negative emotion aroused by descriptions on victims exceeds from sadness to the terror of death, the negative appeal can backfire. This is because death is an uncontrollable event to the mortals, and people may perceive there is nothing to improve the situation. Study 1 verified this assumption by examining that higher mortality salience could lead to less donation attitude and intention, which is mediated by an avoidance motive. As a result, lowering mortality salience of charitable appeal can be an effective way in persuading charitable behavior. Meanwhile, some donation issues can easily reminds of death-related thoughts, even when the message's mortality salience is low. That is, people cannot help thinking about death by simply noticing specific donation issues itself, such as massive accident like the sunken ship Se-wol and natural disaster with heavy casualties. According to the Terror-Management Theory, this kind of mortality priming triggers motives to protect cultural world-view in the unconscious level, which makes people pursue socially supported behavior. Therefore, it was hypothesized that 'social-norm focused message' emphasizing many other donors' behavior is more effective than 'victim-needs focused message' evoking sympathy. As expected, study 2 examined different effects of these two charitable messages. Specifically, when it comes to death-priming issue, social-norm focused message which is appropriately able to appeal on the social motive can leads more favorable donation attitude and higher intention to giv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1) 기부 캠페인에서 부적 감정 유발의 효과    2) 기부 캠페인에서 부적 감정 유발의 역효과 : 죽음 현저성을 중심으로    3) 기부 이슈가 죽음을 연상시킬 때,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3. 연구 문제   4. 연구 1    1) 연구 1의 실험 설계    2) 연구 1의 실험 절차    3) 연구 1의 결과    4) 연구 1의 논의   5. 연구 2    1) 연구 2의 실험 설계    2) 연구 2의 실험 절차    3) 연구 2의 결과    4) 연구 2의 논의   6. 종합 논의    1) 연구 요약    2) 이론적 시사점    3) 실무적 시사점    4) 한계 및 후속 연구   참고문헌   APPENDIX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28 15 유전학 人體(인체)와 그 부분의 私法的(사법적) 地位(지위) -대법원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판결 평석을 겸하여 / 성중모 2013  1167
227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0
226 18 인체실험 물리적 인장 자극에 의한 줄기세포의 분화에 동반되는 미토콘드리아의 특성 변화에 관한 고찰 / 신지원 외 2015  1172
225 9 보건의료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전망과 대응 전략 / 김우주 2016  1174
224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조효남 2019  1177
22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간기증: 내과 의사의 견해 / 신동현 2016  1180
2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221 2 생명윤리 미국 터스키기 매독연구의 생명윤리 논란과 그 영향/서이종 2009  1191
220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3
21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94
218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홍광, 이미숙 2019  1197
217 9 보건의료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 이소리 2018  1200
21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권리에 대한 개념 분석 / 전혜숙 2019  1200
215 13 인구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 박숙현 2015  1203
21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05
213 14 재생산 기술 Human cloning laws, human dignity and the poverty of the policy making dialogue / Timothy Caulfield 2003  1209
21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를 규제하는 국제규범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모색 / 류병운 2014  1212
21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적 연구 : 저작물과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양관석 2019  1221
210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20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