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학치료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5507 
죽음에 대한 명상과 수면 수행 

= Meditation on Death and Sleep Meditation Practice

  • 저자[authors] 이강옥 ( Lee Kang-o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문학치료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2No.-[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문학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4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주제어[descriptor] 죽음 담론, 죽음 명상, 정견, 알아차림, 혼, 업, 수면 수행, 환생, 연기, 윤회, 니르바나, 천국, Meditation on Death, Sleep Meditation Practice, Right Understanding, Mindfulness, Karma, Rebirth, Reincarnation, Interdependent co-arising, Samsara, Nirvana, Heaven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죽음 담론을 다각도로 모색함으로써 죽음 명상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죽음 담론은 우리가 죽음에 대한 정견(正見)을 갖추는데 큰 도움을 준다. 죽음에 대한 정견을 갖추는 것은 죽음에 대한 우리의 `알아차림`이 일정한 방향으로 안정되게 나아가게 한다는 점에서 죽음 명상을 가능하게 한다. 죽음 현상과 죽음의 과정에 대한 이해는 다른 사람과 죽음 담론을 이끌어 가거나 스스로 죽음에 대해 명상할 때 귀중하고 유용한 소재가 된다. 그것은 죽음에 대한 사유를 깊게 하는데 필수적인 지식사항이 된다. 나아가 이런 사유가 명상의 단계로 나아가도록 애써야 한다. 우리보다 앞서 가신 깨달은 분들이 우리에게 베풀어준 죽음에 대한 통찰은 죽음 명상을 지속시키는데 결정적 동력이 되고 참조 틀이 되기에 그에 대한 공부가 유용하다. 사람이 죽으면 혼은 몸의 구속으로부터 해방되어 자기만의 길을 갈 수 있게 된다. 혼이 가는 길을 결정하는 것은 살았을 때 일상적으로 만들어놓은 습관이나 업(業)이다. 그러니 잘 죽기 위해서는 잘 살아야 한다는 명제가 자명해진다. 죽음 명상은 이 명제를 지속적으로 떠올려 그것을 내면화하게 함으로써 잘 살고 잘 죽게 하는 것이다. 이런 죽음 명상을 바탕에 두고 수면 수행을 고안했다. 우리는 잠들고 깨어나는 과정을 의식적으로 경험하면서 매일 죽음과 환생을 경험할 수 있다. 불교적으로 보면 환생이란 연기의 사슬을 벗어나지 못해 초래되는 고통의 연속이라 하겠지만, 매일 매일 이루어지는 죽음과 환생은 끊임없는 새로운 태어남을 뜻하기에 고통스런 것만은 아니고 오히려 즐거운 것이 된다. 이렇게 긍정적인 죽음과 환생의 반복 경험은 정작 우리 숨이 끊어지고 심장이 멈춰 지는 진짜 죽음을 자연스럽게도 편안하게 맞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수면 수행으로 죽음을 연습하여 간접적으로나마 죽음을 경험함으로써 죽음을 맞이할 준비를 충분히 한 사람이게 진짜 죽음은, 윤회의 사슬을 박차고 나가 니르바나나 천국으로 향하는 결정적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본다.

This paper devises a meditation program on death by exploring discourses on death from multi-faceted perspectives. Discourses on death help us establish Right understanding(正見) on death and make it possible for us to practice meditation on death by allowing our mindfulness to proceed steadily to a certain direction. Understanding of death phenomenon and death process is indispensible in discussing discourses on death with others and meditating on death by oneself. This understanding is an essential knowledge in deepening one`s reasoning on death. Much effort would be required to proceed from this reasoning to the next phase of meditation. Bequeathed from the enlightened, insight on death plays a decisive and dynamic role and suggests creative models in sustaining meditation on death. Hence studying discourses on death and acquiring insight are extremely useful. Once one dies, one`s sprit is liberated from the imprisonment of body and able to go its own way. What directs the spirit`s way is the habit or karma that one has accumulated throughout one`s lifetime. Hence it becomes a self-evident proposition that one has to lead a good life in order to have a good death. Meditation on death is ultimately meditation on how to lead a good life and have a good death, by constantly reminding us of this proposition and internalizing it. Based on this aspect of meditation on death, I devised a sleep meditation practice. People can experience death and rebirth everyday by consciously following the process of falling asleep and awakening.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reincarnation only repeats pain, for it is caused by our inability to break free from the chain of interdependent co-arising. However repeating death and rebirth everyday can be a happy experience, for it also means an incessantly renewed birth. This repeated experience of positive death and rebirth comfortably prepares people for an actual death that stops our breath and heart. For those who indirectly experience and prepare for their death with the practice of sleep meditation, their actual death can be a decisive opportunity to escape from a chain of samsara, an eternal cycle of death and rebirth and head towards Nirvana or heave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448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요인 / 배진현 2018  130
1447 15 유전학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법제 현황과 시사점 / 이서형 2017  130
1446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
1445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144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1443 18 인체실험 마취와 관련된 임상시험에의 참여 요구 시 수술이 예정된 환자가 받는 심리적 부담이 환자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김상덕 2012  130
1442 15 유전학 유전성대사질환의 유전자치료 전략 및 현황 / 정성철 2011  130
1441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0
144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대한 명상과 수면 수행 / 이강옥 2014  129
1438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1437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1436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29
1435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봉영준 2017  129
1434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1433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1432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1431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8
1430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8
1429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