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열린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587420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 저자[authors] 박시내(Park, Sina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열린교육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4[2011]
  • 발행처[publisher] 한국열린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3-68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1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70
  • 주제어[descriptor] 죽음교육,어린이,트랜스퍼스널심리학,죽음에의 존재,death education,children,transpersonal psychology,Sein zum Ende

초록[abstracts] 
[오늘날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은 생명경시문제, 교육에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인식되어,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적극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죽음교육이 비교적 소극적인데, 그 이유는 어린이 역시도 죽음과 긴밀한 연관을 가진 죽음에의 존재라는 것에 대한 인식의 부족에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는 어린이를 죽음과 긴밀한 관계를 가진 존재로서 재인식을 통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어린이는 어른과 필연적으로 구분되는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다. 어른과 어린이의 구분은 어린이를 보호하고, 교육받을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의도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어린이가 어른에 비해 부족하거나 결함이 있는 존재라는 의미는 아니다. 어린이는 그 자체로 전인적인 완전한 인간으로, 단지 발달론에 따라 단계적으로 발달해가는 존재가 아니라, 비약적, 수직적인 성장의 가능성 또한 가진 존재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9살 전후의 어린이는 죽음에 대한 지식적인 의미를 거의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죽음이라는 대상과 실존적으로 만나 고뇌하는 존재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죽음과 긴밀한 관계를 가진 어린이에 대한 이해는, 어린이에게 죽음교육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무엇보다도, 어린이에게 있어서 죽음이라는 문제는, 제도적인 죽음교육을 논하기 이전에 이미 어린이 스스로가 전심전령으로 대면하고 있는 실존적인 과제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In modern society,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is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way to overcome diverse problems in education, and is actively implemented in such regions as Europe, the U.S., and Japan. In Korea however,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is relatively inactive and the reason for this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that children are also mortal beings closely related to death. Armed with this critical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through new understanding that children are closely related to death.    First, children are not disparate beings inevitably distinguished from adults. The distinction between children and adults is artificially made in order to protect children and children’s right to receive education, so it does not mean that children are inferior to or more defective than adults. Children are holistic perfect humans in themselves, and are beings not merely developing by stages but also having the possibility of rapid and vertical growth. Recent research has revealed that children around the age of nine not only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but also agonize over encountering death existentially. Analysis of children proves that the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death and highlights the fact that providing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is not only possible but also necessary. Above all things,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 issue of death is an existential task which children have already faced with all of their heart and strength, long before institutional death education is given.]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Ⅰ. 서론  Ⅱ. 어린이라는 존재의 의미  Ⅲ. 발달론적 관점으로부터- 일률적인 발달론을 넘어서  Ⅳ. 죽음앞에 선 존재로서의 어린이  Ⅴ. 어린이를 위한 죽음 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668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6
266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강미 2012  246
2666 5 과학 기술 사회 스파이크 존즈의 〈그녀〉에서의 인공지능과 몸, 감정, 윤리적 주체의 문제/ 박선화 2018  245
2665 8 환자 의사 관계 사과법(Apology Law)의 입법동향 및 관련 쟁점 /이로리 2018  245
266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AI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김승래 2018  245
2663 2 생명윤리 바이오 뱅크의 윤리적 쟁점 / 이상욱 2012  245
2662 20 죽음과 죽어감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덕과 인 함의:『논어』를 중심으로 / 손보미 2017  245
2661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특허에 있어서 인권 문제 / 박성호 2008  245
2660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2017  245
2659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의료이용 및 삶의 질에 미친 영향분석 2017  245
2658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26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신현호 2006  245
2656 9 보건의료 응급실 환자의 중증도와 만족도의 관련성 / 정지윤 2018  244
2655 15 유전학 2PL-1 : 유전자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 김진수 2018  244
2654 1 윤리학 인(人) 이외의 존재에 대한 법인격 인정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 이경규 2018  244
2653 15 유전학 유전체맞춤의료를 둘러싼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 정보의 도덕성 논쟁 - 잊혀질 권리와 공유할 의무를 중심으로 / 정창록 2016  244
2652 9 보건의료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박근수 2015  244
2651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2016  244
265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4
2649 2 생명윤리 도덕 교과에서의 생명 교육 연구 / 육정란 2003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