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노년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79279 
죽음준비교육의 현황과 과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death education and urgent problem

  • 저자[authors] 이이정(Lee Lee Je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노년교육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No.1[2016]
  • 발행처[publisher] 한국노년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9-88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38
  • 주제어[descriptor] 죽음,죽음교육,웰다잉,죽음교육의 현황,death,death education,well-dying,current state of death education

초록[abstracts] 
[고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인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자신의 죽음을 준비해야 하는 노인뿐만 아니라 그들과의 이별을 준비해야 하는 가족과 이웃, 친구들 그리고 죽어가는 사람들을 돌보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모두 포함한다면 우리의 삶에서 죽음을 밀어내기는 쉽지 않다. 이제는 동전의 다른 한면인 죽음을 우리의 삶 안으로 끌어들여서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뿐만 아니라 행복하고 안락한 죽음은 어떠한 것인지, 좀 더 평화롭고 존엄하게 죽기 위해서는 어떠한 죽음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고, 죽어가는 환자를 인간답게 돌보기 위해서는 어떠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 함께 고민해보아야 할 때다. 죽음준비교육은 삶의 한가운데서 죽음이 갖는 의미를 탐구하고, 자신의 한계를 자각하면서 삶을 더욱 의미 있게 살 수 있도록 하고, 자기와 다른 사람의 죽음에 대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떠한 죽음교육관련 움직임이 있는지 현황을 살펴보고 죽음교육분야의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우와 비교하여 죽음교육의 대중화와 보급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서 첫째, 우리나라의 죽음준비교육의 실천 상황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미국의 죽음준비교육 실천상황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며, 마지막으로 죽음준비교육의 연구동향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및 제언에서는 죽음교육 실시 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 연구, 학교교육을 포함한 전생애적인 시각에서 각 발달단계에 맞는 죽음교육의 실시, 일반인을 위한 강좌뿐만 아니라 죽음관련 직종 종사자들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정착, 양질의 교육수준 확보를 위한 죽음교육 지도자 양성프로그램 실시, 죽음과 관련된 부정적 편견을 교정할 수 있는 인식 개선운동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death education in Korea and presents proposals for the dissemination and popularization of death educ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death education in United States.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ives, following studies were conducted. firstly, historical reviews on the practices of death education in Korea. Secondly, historical reviews on the practices of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irdly, investigation on research trends of death education.  I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and proposals suggest the study for current situation of death education, the practice of death education in lifespan perspective according to each development stag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chool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the people working in the death education fields as well as general public,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programs for death educators in order to ensur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necessity to improve negative preconceptions about death.]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