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영상예술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17648 
흥행영화와 죽음 : 2000년대 전반기 한국 흥행영화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의미작용 

= The Blockbuster and Death: The Meaning Operation of Death in the Korean Blockbuster in the Early 2000's

  • 저자[authors] 서곡숙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영상예술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2009]
  • 발행처[publisher] 영상예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5-15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9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26.7
  • 주제어[descriptor] 2000년대 전반기,한국 흥행영화,죽음의 의미작용,the early 2000's,the Korean Blockbuster,the Meaning Operation of Death

초록[abstracts] 
[죽음은 인간의 종말이자 유기체의 완전하고 총체적인 소멸이며 필연적 현상이 다. 죽음은 제한적, 유한적인 삶에 아름다움, 존경, 가치를 부여한다. 죽음에 대한 공포는 죽음을 기호, 은유, 상징 등으로 금기시하게 만든다. 죽음에 대한 선행 연 구는 철학, 종교, 문학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철학은 서구와 한국의 죽음 관, 육체와 정신의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고, 종교는 각 종교의 죽음관, 죽음 이후의 세계, 극복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고, 문학은 작품에 드러나는 죽음의식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한다. 본고는 2000년대 전반기 흥행영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죽음 의 의미작용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죽음은 이 영화들의 내러티브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죽음의 의식과 의미작용에서는 죽음의 유형, 과정, 방식, 의미, 삶과의 연관성 등이 드러난다. 첫째, 죽음의 유형은 자연적/비자연적 죽음, 내적/외적/거짓 죽음, 비참한/위엄 있는 죽음 등이다. 흥행영화에서 인물의 죽음은 대부분 비자연적 죽 음, 외적 죽음, 비참한 죽음이다. 죽는 인물은 대부분 착하고 정의롭고 사랑받는 인물들(=희생양)이거나 혹은 사회의 범죄적 존재에서 정의로운 존재로 변화하는 인물들(=속죄양)이다. 둘째, 죽음 의식의 과정에서 선하거나 정의로운 인물의 죽 음은 공동체를 폭력적이고 위태로운 상황으로 만들 때 이러한 상황은 희생양/괴물 /왕의 죽음으로 종료된다. 죽는 인물들은 희생한다-자신의 절망이 아니라 사랑하 는 타인의 생명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버린다. 그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속에서 다른 인물의 사랑과 현존재를 인식한다. 셋째, 죽음에 대한 표현 방식에서 는 주인공의 죽음은 느린 템포와 비장감으로 다루어지지만, 그들의 죽음 이후의 결과는 비극적인 결말이 아니라 낙관적인 전망으로 표현되고 있다. 넷째, 죽음의 의미는 폭력성, 인간과 사회 사이의 갈등, 부조리한 삶 등을 통해 개인/집단, 남/ 여, 전통/근대의 갈등을 드러낸다. 다섯째, 인물들의 죽음은 삶/죽음, 생성/소멸, 체제/남성성의 관계를 통해 유한한 존재인 인간, 생명 경시 풍조, 혼돈된 세계를 보여준다. 이제 죽음은 하나의 가벼운 사건으로 여겨지고 일상화·사물화됨으로써 망각되 고 있다. 오늘의 죽음은 죽음의 망각, 의례의 불완전성과 결여, 삶/죽음의 단절, 열 린/닫힌 죽음의 대립을 보여준다. 그래서 2000년대 전반기 죽음이 호명되는 이유 는 죽음의 변형, 조작, 원한을 진혼제, 희생제의로 풀고자 하기 때문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1. 흥행영화와 죽음 2. 죽음의 유형과 죽음의식 3. 죽음의 의미작용과 희생제의 4. 죽음의 변주곡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2014  574
627 15 유전학 유전병과 기형아 및 유전상담 / 김정휘 1996  574
62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조문애, 김달숙 2012  574
62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575
624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2017  575
62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6
622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2016  576
621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 홍선우, 김신미 2013  578
62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 보호와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김종일 2010  578
619 9 보건의료 국제비교를 통한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수가체계 차등화에 대한 연구/김진수 외 2014  578
618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상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그리고 비식별화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의 평가 및 입법론적 논의 / 김후신 2015  578
617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책임윤리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 김상철 2003  579
616 22 동물복지 실험동물의 사용과 사육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우상훈 2011  579
615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0
614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임명호 2015  580
613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61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2016  582
6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610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609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