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78422 
낙태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세계 각국의 입법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bortion Issue - Focused on Legislation cases and Precedents of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

저자[authors] 김광재
학술지명[periodical name]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473[2018]
발행처[publisher] 대한변호사협회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수록면[Pagination] 217-242
언어[language] Korean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초록[abstracts] 
[It is a sensitive and difficult issue that allow abortion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After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ugust 23, 2012, ruled that the abortion punishment is constitutional(2010HeonBa42), but this matter, which had been quiet for a while, became hot again on account of national petition on the internet website of the Blue House in autumn 2017. The Constitutional Court said that the division of the fetus according to the stages of growth can not legitimize and if the punishment is not executed, abortion will become more prevalent than it is now. And it is not enough to be an effective means of preventing abortion that realize universalization of contraception, sex education and support for pregnant women. However, many countries have succeeded in effectively abolishing the abortion rate by legalizing the abortion instead of punishing the abortion, through the social infrastructure movement and educational approach to contraception, providing information and counseling on pregnancy, and providing public services for abortion. The study of legislation cases, precedents, and abortion policies on abortions around the world suggests that the approach to abortion in our country, which is in a paradoxical situation with a high abortion rate, is punishing until the abortion in the early pregnancy.

낙태 허용 여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민감하면서도 어려운 문제이다. 헌법재판소가 2012년 8월 23일 낙태 처벌 규정에 대해 합헌결정(2010헌바42)을 한 후 한동안 잠잠하던 이 문제는 2017년 가을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을 통해 다시 한번 뜨겁게 달아올랐다. 헌법재판소는 태아를 성장 단계에 따라 구분하여 보호의 정도를 달리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고, 낙태를 처벌하지 않으면 현재보다도 훨씬 더 낙태가 만연하게 될 것이며, 성교육과 피임법의 보편적 상용, 임부에 대한 지원 등이 낙태를 방지할 효과적인 수단이 되기에는 부족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미 많은 나라들은 낙태를 처벌하는 대신 합법화하면서도 피임에 대한 사회인프라운동과 교육적 접근, 임부에 대한 정보제공 및 상담, 낙태의 공공서비스 지원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낙태율을 낮추는데 성공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낙태에 관한 입법례와 판례, 그리고 낙태 정책을 살펴보는 것은 임신 초기의 낙태까지 처벌하면서도 오히려 높은 낙태율을 보이는 역설적인 상황에 처한 우리나라의 낙태에 대한 접근 방식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08 12 낙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박명배 외 2017  75
4107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
4106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2019  75
4105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2015  76
4104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2009  76
4103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4102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2000  76
4101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2017  76
4100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4099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
4098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4097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4096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4095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4094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4093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409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4091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4090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4089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