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22819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Development of a Production Guideline for Broadcasting Programs Aimed towards Spreading of Egalitarian Culture

  • 저자[authors] 안상수(Sang su Ahn),김인순(In soon Kim),강혜란(Hae ran Kang),박경희(Kyung hee Par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6No.-[2016]
  • 발행처[publisher]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10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37

초록[abstracts] 
[The development of a production guideline for gender equality broadcasting programs was undertaken in order to guide program producers to make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spreading of an egalitarian culture. The guideline aimed towards making program producers be aware of gender equality clauses included in broadcasting review regulations revised and issued by Korean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on December 28, 2016 and thus become knowledgeable on the impact that broadcasting shows have on the spreading of an egalitarian culture. To develop an effective guideline, this study put together consultative meetings and conferences in which broadcast staff, policy makers, and broadcasting related experts participated. Through the meetings and conferences, the study came up with an itemized guideline containing core elements that producers can readily and easily access and reference while making a broadcasting program. The guideline proposed by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ategories, with each category containing specifics and case studies. The five categories are as follows. 1) Gender equality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from the selection of a broadcasting theme (topic). 2) Broadcasting should represent both men and women proportionately and in a balanced manner. 3) Broadcasting should not show gender role stereotypes and should portray diverse lifestyles of men and women. 4) Broadcasting should in no manner justify or show provocatively domestic or sexual violence. 5) Broadcasting should not use gender discriminatory language. Together with the guideline, this study also suggested measures for utilizing the guideline and measures for facilitating the production of gender equality broadcasting programs. First, the use of the developed guideline should be actively promoted among actual program producer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of a ‘Gender Balance Index Self Checklist’ so that producers could be encouraged to contribute to the spreading of an egalitarian culture when making their programs.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establishing of a Monitoring and Selection Committee under the auspices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uch a committee would select and announce ‘Gender Equality Program of the Month’ on a monthly basis. The awarding would aid in motivating producers towards making gender equality programs.

1. 연구목적 양성평등한 문화 확산을 위한 법·제도 차원에서의 개선, 노력뿐만 아니라 미디어의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제작하는 방송 관련 종사자(방송 프로듀서, 제작자 방송 외주업체 종사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활용성이 높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은 우리 사회 전체로의 양성평등의식을 확산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 가이드라인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양성평등 관련 심의 조항이 2016년 12월 28일부터 개정·공표됨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제작자들에게 양성평등 문화 확산에 미치는 방송의 영향력을 인식하게 하고, 규제적 성격이 강한 심의단계가 아니라 사전 제작단계에서 미리 방송심의규정의 양성평등 조항에서 담고 있는 내용을 알려서, 양성평등 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송프로그램 제작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연구결과 관련전문가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여러 차례의 전문가와 협의를 거쳐 방송종자사를 위한 5개 항목으로 구성된 방송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을 개발했으며, 관련전문가와 실무자를 대상으로 여러 차례의 자문회의와 협의를 거쳐 방송종사자를 위한 5개 항목으로 구성된 방송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을 개발했으며, 가이드라인의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보급 및 배포 방안 그리고 양성평등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동기를 높이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가. 방송종사자를 위한 방송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양성평등 방송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1) 방송은 주제의 선정에서부터 양성평등이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 2) 방송은 남성과 여성 모두를 균형 있게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3) 방송은 성역할 고정관념에 치우치지 않는 여성과 남성의 다양한 삶을 보여 주어야 한다. 4) 방송은 어떠한 성적 폭력이나 가정폭력도 정당화하거나 선정적으로 다뤄서는 안 된다. 5) 방송에서는 성차별적 언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나. 가이드라인의 활용 및 양성평등 방송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제언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송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은 먼저 방송제작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들이 양성평등한 시각과 관점에 공감하는 데서 비롯된다. 이 가이드라인은, 방송을 기획·제작·편성하는 모든 과정에서 방송사, 제작진, 출연자들이 꼭 점검하고 준수해야 할 핵심사항으로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에 맞춰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 가이드라인의 활용 및 양성평등 방송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현장적용이 용이하도록 생활용어에 가까운 쉬운 언어를 사용하고, 구체성을 가져야 한다. 2) 방송통신위원회의 심의기준을 토대로 삼아야 하며, 반드시 지켜야 될 것을 중심으로 하고, 앞으로의 추가적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선도적인 형태가 되어야 한다. 3) 방송프로그램 제작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단순하면서도 쉽게 참고할 수 있는 형태여야 한다. 4) 방송프로그램 제작자의 자가진단을 유인할 수 있고 활용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자신의 ‘젠더균형지수 알아보기’와 같은 체크리스트 형태로 배포할 필요가 있다. 5) 양성평등 문화 확산에 방송프로그램 제작자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시 방송 모니터링 체제를 도입하고, 현재 연1회 시행되고 있는 양성평등방송프로그램 시상제도를 활성화하여, 매월 시행하는 ‘이달의 양성평등방송프로그램’ 형태로 또, 여성가족부가 공식 발표하는 형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Ⅱ. 해외 주요 국가, 국내의 성평등 관련 방송제작 규정 및 가이드라인 Ⅲ.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전문가회의 결과 Ⅳ. 방송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방송 모니터링 사례분석 Ⅴ. 양성평등 방송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결과 및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88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범경철 2014  596
408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408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송현미 2000  596
408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
4084 9 보건의료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 박석건 외 2016  595
4083 9 보건의료 간호중재분류체계(NIC)에 근거한 내·외과계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수행 및 건강보험수가 항목 분석 / 박옥엽 2005  594
4082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4081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4080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4079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2013  591
4078 9 보건의료 국제보건규칙(2005)상의 전염병 통제 보건조치와 인권의 보호 / 박진아 2012  590
4077 20 죽음과 죽어감 법조계, 의료계, 종교계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수정 2007  590
4076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의 현황과 정책 방향/ 황서현, 김경철 2018  589
4075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2011  589
4074 9 보건의료 2016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 보험연구원 2016  588
4073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4072 20 죽음과 죽어감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 인지에 관한 탐색 연구/강형구, 윤성민 2015  587
4071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4070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2013  586
406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