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33667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A Study on Process of Medical Device Development and Guideline of Ergonomics for Safety Improvement

  • 저자[authors] 채승진(Chae, Sung Zin),김지해(Kim, Agnes Jiha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3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01-71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Medical Instrument(의료기기),Design Development Process(디자인개발과정),Validation(인증),V Model(V 모델),Ergonomics(인간공학),Safety(안전성),Usability(사용성)

초록[abstracts] 
[의료기기 디자인은 제품의 정밀도와 섬세함은 물론 전임상, 임상과정의 요구, 미식품의약국(FDA)과 식약청(KFDA) 규정 및 ISO, CE, UL 등 국제표준규격의 준수 등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기개발에 적용되는 주요 개발방법론과 과정, 상업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제도적 요건들을 정리분석하며 제시함으로써, 향후 디자이너가 다양한 의료기기 개발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개발 참여시 디자인의 역할을 최적화 시킬 수 있는 개발과정모형(프로세스 모델) 제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세 단계에 걸친 전문가 인터뷰로 진행되었다. 연구내용은 의료기기개발에 적용되는 주요 개발방법론과 과정, 상업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제도적 요건들과 디자인개발 모델들과 개발 주체의 특성, 각종 규제와 요건, 의료기기 개발을 둘러싼 여러 환경을 조사 분석하여 최적화한 의료기기 디자인개발프로세스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개발프로세스의 특징을 요약하면; 1)디자인개발팀은 각 개발단계마다 요구되는 수준별 의료기기의 인증요건을 전제로 디자인을 진행해야한다. 2)디자인개발 주체(기업)는 디자인팀의 기능을 상세디자인 부문과 단위 검증부문으로 이원화하여 운영하며 상호 조율해야한다. 3)디자인개발팀은 의료기기 안전기준을 최우선시해야하며 동시에 사용성 향상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의료기기 기계적 안정성과 더불어 전반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dical instruments design process and methods for product and industrial design. For the first, the study finds that it should be main concerns of the process and methods for designers to observe the regulations and laws of medical instruments. The second importance would be to provide the good coupling combination between formal design process and regulations for establishing optimal development phase. The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are consisted with experts interview(1st stage), site observation, literature searching, developing process model making and experts interview(2nd stage), and proposing the model of development process model combined medical instrument regulation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For optimizing whole development phase, design team should observe prototype validation guidelines. 2) For minimizing developing cost, developing body(company) has to run at least two teams charging detail design and component unit-element test. 3) For maximizing safety features, design team has to keep related human factors engineering for safety and usability requirements.]

목차[Table of content]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의료기기와 디자인  Ⅲ. 의료기기 개발 유형 및 특징  Ⅳ. 안전성 위주의 인간공학에 관한 FDA 가이드라인  Ⅴ. 결론  Referenc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28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3627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362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3625 15 유전학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최진일 2019  105
3624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2019  105
3623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5
3622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362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6
3620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2014  106
3619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6
361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3617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6
3616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3615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3614 18 인체실험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드레드』에 나타나는 흑인 여성의 몸 : 데이나와 앨리스를 중심으로 / 강명신 2018  106
3613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3612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에서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사법적, 입법적 논의 / 박영호 2005  106
3611 1 윤리학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을 위한 방향 탐색 - 윤리교사들의 윤리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 장승희 2017  106
» 5 과학 기술 사회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채승진 외 2017  106
3609 1 윤리학 한국에서의 비영리법인 및 공익법인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 송호영 2019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