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叢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49154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Investment Promotion Measures of the Korean Government -Focused on the Measures related to Health and Medical Care

  • 저자[authors] 홍석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法學論叢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1No.3[2014]
  • 발행처[publisher]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1-361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보건의료,헌법,의료법인,부대사업,자법인,의료영리화,Health and Medical Care,Constitution,Medical Corporation,Incidental Business,Subsidiary Corporation,Commercialization of the Health and Medical Care

초록[abstracts] 
[정부가 발표한 '4차 투자활성화 대책'에는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목적 자법인 설립 허용 및 부대사업 범위의 대폭 확대, 의료법인간 합병의 허용, 법인약국의 허용, U-Health 활성화 등이 보건의료 서비스 분야 대책으로 포함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이전 정부에서도 시도되었던 보건의료 산업화 정책과 유사한 내용이지만, 특히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의료법인의 부대사업을 대폭 확대하고, 이처럼 확대 된 범위의 부대사업을 의료법인이 자법인을 설립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으로 허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우회적인 의료영리화 추진이라는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보건의료는 강한 공공재적 성격을 지니고, 관련 정책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보건의료정책의 수립과 시행은 헌법적 차원에서 그 정당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에는 보건의료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사회국가원리를 구현하는 것이며 국가는 사회정 의의 실현을 위한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책임을 진다는 점, 보건의료정책은 국가공동체의 이익 및 다수 국민의 기본권 실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이해관계의 대립이 첨예하며 또 충돌하는 이해당사자의 범위도 매우 광범위하므로 국회의 법률로써 규율되어야 할 필요성이 크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에 대해서는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보건의료의 공공성 약화에 대해 충분하고 구속력 있는 대비책을 마련하기 보다는 보건의료 관련산업에 대한 투자와 수익창출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또한 의료기관 개설 주체를 제한하고 의료법인의 영리추구를 금지한 의료법의 취지, 부대사업 위임에 관한 동법 제49조의 내용과 그 입법연혁 등을 고려할 때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의료법인의 부대사업을 지나치게 확대함과 동시에 가이드라인의 형식으로 자법인 설립을 허용하는 것은 법률유보원칙에 위반될 소지가 크다.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Fourth Investment Promotion Measures' on December 13, 2013. The main contents of these measures are deregulations and with regard to health and medical care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ill be allowed for the medical corporation to establish the profit-making subsidiary corporation and run a wider range of incidental businesses, It will also be allowed the mergers between medical corpor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pharmacy corporation, Ubiquitous-Health will be widely used. Most of these measures were attempted by the previous governments but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incidental businesse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Rule of the Medical Service Act」 and the permission of the profit-making subsidiary corporation through the guideline drawn up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e in for fierce criticism. This criticism is within reason because profit-making subsidiary corporation and the increase of incidental businesses may be regard as an expedient for Commercialization of the health and medical care without the re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Act」. Constitutionally, the health and medical care policy should aim to guarantee the right to health of the people and realize the principle of the welfare state as the Korean Constitution requires. Furthermore, as the health and medical care policy has a great effect on not only the individual life and health, but national interests, the basic direction of the policy should be decided by the National Assembly where a variety of views can be presented and publicly debated, disputed, reviewed. In this sense,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incidental businesses and the permission of the profit-making subsidiary corporation pushed by the Korean Government possibly violates the Constitution.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a measure to strengthen the public character of health and medical care and the constitutional right to health. At the same time,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derived from the rule of law should be observed to give priority to National Assembly's legislative power.]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보건의료정책의 헌법적 기초  Ⅲ.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의 내용  Ⅳ.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에 대한 평가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8 17 신경과학 뉴로마케팅(Neuromarketing)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추병완 2014  1443
167 5 과학 기술 사회 윤리적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책임 문제 / 이상형 2016  1446
166 13 인구 저출산 문제점과 정책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유형별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 정윤경 2007  1466
165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164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163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의 범죄주체성과 형사책임 / 류화진 2016  1489
162 18 인체실험 선진 외국의 동물대체시험법 개발현황과 전망 / 이진구 2016  1497
161 1 윤리학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본 순자 성악설 : 사회적 생명·윤리문제 측면에서 / 허영주 2016  1498
16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 / 정선주 2011  1498
159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498
158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2018  1501
15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2018  1502
156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관한 민사상의 제문제 / 소재선 2011  1505
155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생명공학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은진 2007  1532
154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한나 외 2015  1534
153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2003  1535
152 1 윤리학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경수 2018  1538
151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2018  1542
15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매매의 도덕성 논쟁과 장기보상제도 / 정창록 2013  1550
149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