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37598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조건이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재현된 복제인간의 정체성 문제

= Bedeutung des Menschen im posthumanen Zeitalter - Die Identitatsproblematik des Klons in Science-Fiction-Filmen

  • 저자[authors] 천현순 ( Cheon Hyun Soo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8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브레히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5-18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복제인간, 유전자와 환경, 쌍둥이 연구, 사이언스 픽션 영화, Klon, Gene und Umwelt, Zwillingsforschung, Science-Fiction-Film

초록[abstracts]
[Das 21. Jahrhundert bestimmt man als ein Zeitalter der neuen Genetik. Durch die wissenschaftlichen Erfolge der Genomforschung am Beginn des 21. Jahrhunderts verbreitete sich der Glaube, dass es die Gene seien, die uns zu dem machen, was wir sind. Dem Humangenomprojekt lag daher die Hypothese zugrunde, dass unsere gesamte Existenz von einem genetischen Programm gesteuert bzw. determiniert werde. Dazu verstarkten die technischen Erfolge des reproduktiven Klonens den Glauben an den genetischen Determinismus. Der Begriff Klonen bezeichnet in der Reproduktionsmedizin die kunstliche Erzeugung eines genetisch identischen Individuums von einem Lebewesen. Wie aber wirken die Gene bei der Identitatsbildung des Klons? Wird der Klon im Laufe der Zeit tatsachlich gleich sein wie das Original?  Die vorliegende Arbeit richtet in Bezug darauf ihr Augenmerk auf die Wirkungsproblematik der Gene bei der Identitatsbildung des Klons in Science-Fiction-Filmen. Die Arbeit gliedert sich insgesamt auf in drei Teile: Im ersten Teil betrachtet die Arbeit die technische Entwicklungsgeschichte des reproduktiven Klonens. Im zweiten Teil untersucht die Arbeit den Gene-Umwelt-Diskurs spezifisch durch die Zwillingsforschung. Im dritten Teil versucht die Arbeit, die Wirkungsproblematik von Genen und Umwelt bei der Identitatsbildung des Klons beispielsweise in den Science-Fiction-Filmen Blueprint(2003) und The Boys from Brazil(1978) hervorzuheben. Durch die vergleichende Untersuchung der beiden Filme ist es ersichtlich, dass sowohl die Gene, als auch die Umwelt auf die Identitatsbildung des Klons maßgeblich mit einwirke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03 20 죽음과 죽어감 Sun-390 : 암환자에서 사전연명의료계획서의 작성과 호스피스 이용 / 김진항 외 2018  94
502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및 과제 -환자중심의료를 중심으로- / 이무선 2018  149
501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 / 안병하 2018  90
500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의 나고야의정서상 접근 및 이익 공유(ABS)에 관한 국내이행 법제 동향 / 김두수 2018  102
499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조건이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재현된 복제인간의 정체성 문제 / 천현순 2018  1688
497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2018  77
496 15 유전학 유전체 네트워크의 일반성과 특이성을 반영한 질환-유전자 예측 / 남용현 외 2018  57
495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 -메타 윤리와 신경 과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정결 2018  801
494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7
493 15 유전학 독일 유전자검사법의 규율 구조 이해 - 의료 목적 유전자검사의 문제를 중심으로 - / 김나경 2016  98
49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2014  51
491 5 과학 기술 사회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채승진 외 2017  106
490 9 보건의료 유방암 치료에 대한 한의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이남헌 외 2016  57
489 5 과학 기술 사회 여성스포츠선수의 인권보호에 대한 국제적 기준과 국내 이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성폭력과 관련하여 / 권형둔 2017  119
48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49
487 5 과학 기술 사회 국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기반 의료기기 설계방안 / 조수진 외 2017  68
486 2 생명윤리 초등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한 파일럿조사 / 박주현 외 2017  52
485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의 잊힐 권리에 관한 최근의 입법 동향과 법적 과제 / 김나루 2018  155
484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2018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