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民事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53670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 

= Rechtsdogmatische Betrachtung des sog. Gesetzes über die Entscheidung über lebensverlängernde Maßnahmen - unter dem Gesichtspunkt des Persönlichkeitsrechts des Patienten -

  • 저자[authors] 안병하(Ahn, Byung Ha)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民事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84[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민사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3-17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간존엄,자기결정권,환자의 인격권,연명의료 중단,연명의료계획서,사전연명의료의향서,추정적 의사,환자의 동의,Sterbehilfe,Menschenwurde,Personlichkeitsrecht des Patienten,Patientenverfugung,Mutmaßlicher Wille,Einwilligung

초록[abstracts]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부분이 올해 초부터 시행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실무상의 문제점들이 신문지상에 보도되고 있다. 그러나 위 법률은 보다 근원적인 여러 법리적 문제점들을 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본고는 헌법상 기본권적 가치인 인간의 존엄 및 자기결정권에 입각한 민법상 환자의 인격권에 초점을 맞추어 위 법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론부터 말하자면 위 법률은 환자의 존엄가치를 지키기 위하여 연명의료결정을 자유로이 인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연명의료 중단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종국적으로 동법 제1조에서 스스로 제시하고 있는 목적에 전혀 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부정적 결론으로 이끄는 위 법률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애초에 연명의료시술이 행해질 때 그것이 의학적 적응증을 가진 것이어야 하며 또 환자의 신체를 침해하는 성격의 것인 한 환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지 않고, 오로지 연명의료 중단의 허용 여부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니 불필요하게 연명의료를 개념적으로 제한하고 그 중단을 시기적으로 제한하며, 인공적 영양공급 및 수분 공급은 중단조차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환자에게 동의능력이 있는 경우 그의 현실적 의사에 따라 중단하는 가장 기본적 형태에 대해서는 전혀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며, 환자에게 동의능력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만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런데 이 규정들의 내용 또한 예컨대 환자의 철회의사 등의 신중한 확인, 추정적 의사의 착실한 탐지, 미성년자의 인격권 보호라는 측면에서 아주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가족에게 지나친 권한을 부여하면서 오히려 이를 위해 민법에서 이미 예정하고 있는 후견제도를 철저하게 무시하고 있는 점 또한 법체계적 관점에서 옳지 못하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머리말  Ⅱ.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내용 개관  Ⅲ. 분석의 틀로서 인간존엄과 자기결정권 그리고 환자의 인격권  Ⅳ. ‘연명의료결정법’의 법리적 문제점  참고문헌  국문초록  Zusammenfassu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48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2003  519
747 9 보건의료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 경험 / 김다연 2018  519
746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20
745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 개발 및 시장 현황 연구- 인공지능형 로봇청소기 사례를 중심으로/남미경 2010  520
74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2014  521
743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21
742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2015  521
74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1
74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739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나노아트의 융합 연구 / 오규운 2016  522
738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 변미경 외 2017  523
73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3
736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3
735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734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24
73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732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5
731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730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26
729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