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51252 
재난적 의료비와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분석 

= A Pane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and Quality of Life

  • 저자[authors] 김선제 ( Sun-jea Kim ), 사공진 ( Jin Sakong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3No.4[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재난적 의료비, 삶의 질, 패널분석, 한국의료패널, Catastrophic Health Expenses(CHE), Quality of life, Panel study, Korea Health Panel(KHP)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의료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재난적 의료비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재난적 의료비가 발생하는 요인에 따라 표본을 계층별로 구분하여 계층에 따른 의료비와 삶의 질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 저소득층, 만성질환자의 경우 재난적 의료비가 발생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표본 중 노인가구, 저소득 가구 및 만성질환 가구를 추출하여 이들 계층에 대해 의료비 결정요인을 각각 분석하고 의료비를 포함하여 삶의 질의 결정요인도 분석하였다. 추정 결과, 의료비의 증가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은 저하하며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일수록,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삶의 질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급여를 받거나 앓고 있는 만성질환의 개수가 많을수록 삶의 질은 저하하고 있으며 우울감, 자살충동을 가지거나 약물복용을 할수록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걷기운동을 하면 삶의 질이 좋아지고 흡연량이 늘어날수록 삶의 질이 저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료비의 증가는 가계의 재정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고 나아가 국민의료비도 증가시키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사회 구성원들을 재난적 의료비로부터 보호하고 삶의 질을 향상키는 것은 보건의료정책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Catastrophic Health Expenses(CHE) is an indicator to identify the financial burden of the households for the medical spending beyond a certain level. 5 years’ Korea Health Panel data from 2009 to 2013 was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Panel logit estimation to find the determinants of CHE showed that the elderly, the households with low-income and rhe households who had chronical diseases, could experience CHE with high probability. We, then,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medical expenses and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households with low-income and the households who had chronical diseases, respectively.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ouseholds with high income, with many household members, and with chronical diseases spent more medical expenses.  The medical expenses had advers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e households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people who involved economic activities, and the households who exercised periodically, enjoyed higher quality of life. Smoking, chronical diseases, melancholia, suicidal thought had adverse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e priority of the health policy should be focused on protecting households from CHE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usehold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8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권경은 2008  1017
438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15
4386 15 유전학 현대 키메라(Chimera)'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 김인경, 장매희 2012  1013
4385 12 낙태 낙태의 윤리적 문제 / 구인회 2018  1010
4384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홍성란 2016  1009
438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438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7
4381 9 보건의료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 김계현 2017  1004
4380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8
4379 20 죽음과 죽어감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 전주영 2018  988
4378 17 신경과학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자녀들의 정신건강 상태 조사 연구 / 서화연 외 2017  987
4377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82
4376 15 유전학 In Vitro에서의 경구 투여용 인간 성장 호르몬의 생산 / 구본철 2012  980
4375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 조광제 2011  980
43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9
4373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76
437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 권인혜 2018  975
4371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5
4370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4369 12 낙태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조홍석 2018  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