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생명과학과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75184 
일본에 있어 의료사고에의 대응과 시사점 - 의료사고조사제도와 무과실보상제도를 중심으로 -

  • 저자[authors] 홍태석,오정용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생명과학과 법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2018]
  • 발행처[publisher]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5-18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의료사고, 의료형법, 의료형사책임, 무과실보상제도, 의료사고조사제도, 환자안전법, Medical accident, Medical criminal law, Medica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An inexecutive reward system, Medical malpractice investigation system, Patient Safety Act

초록[abstracts] 
[의료사고의 피해환자 또는 그 보호자는 막상 이러한 사고를 직면하게 되면 정신적・육체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의료사고의 피해에 대하여 어떻게 도움을 받아야하는지, 어떠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또한 법원에서의 피해의 입증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등 여러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다. 일본은 2014년 중한 의료사고의 발생으로 특정기능병원의 승인을 취소하기에 이르게 된 동경여자의과대학 병원사건과 군마(群馬)대학 의과대학 부속병원 사건 등과 관련한 2건의 의료사건은 무엇보다 의료사건으로 존재하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심각성을 계기로 일본은 2015년 의료사고조사제도를 실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무과실보상제도 또한 시행중에 있다. 이렇듯 일본은 의료사고조사제도를 법제화함에 있어 법률단계에서의 명확화를 이루어 하위법령에 위임사항을 최소화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환자의 안전관례 체계 수립에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환자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환자의 보호 및 의료 질(質)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환자안전법 등을 시행하고는 있으나 일본의 경우와 같이 세부적인 제도적 장치의 마련은 아직 미시행중에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일본에서 의료과실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제도들의 내용과 과제에 대하여 검토하고 우리의 현상과 향후 과제를 점검하여 보았다.

Patients of medical accidents and their guardians experienced mental and physical difficulties when faced with such accidents. They have found difficulties in many areas, such as how to get help and what kind of help is available for them in the damages of medical accidents, and how to prove thier damages in court. Above all, Japan becam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s that have existed in medical accidents in 2014 through two medical accidents that are related to the case of the hospital in the Tokyo Women's College of Medicine which led to the approval cancellation of a certain hospital and the case of the hospital attached to the University of Gunma. Due to such seriousness, Japan has implemented a medical malpratice investigation system since 2015 and is also carryijng out a no fault liability for compensation system. As such, it is meaningful that Japan has made the medical malpractice investigatjion system legal. because this legislation has minimized the system's delegation to the it's subordinate laws by making it clear at a legal level, and has many implications for us to establish the patient safety practice system. Our country is also implementing the patient safety law to define what is necessary for patient safety an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patients and the improvement of medical quality. However, we haven't yet provided the institutional strategies like Japa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s and tasks of the institutions being implement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medical malpractice in Japan and checked our phenomena and future task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일본의 의료현상   Ⅲ. 의료사고조사제도와 무과실보상제도   Ⅳ. 우리의 현상   V.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 보호와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김종일

발행년 2010 

  • 조회 수 577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발행년 2017 

  • 조회 수 57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발행년 2015 

  • 조회 수 57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발행년 2012 

  • 조회 수 575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발행년 2016 

  • 조회 수 57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발행년 2014 

  • 조회 수 5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조문애, 김달숙

발행년 2012 

  • 조회 수 57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573

17 신경과학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이상민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572

15 유전학 유전병과 기형아 및 유전상담 / 김정휘

발행년 1996 

  • 조회 수 571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발행년 2014 

  • 조회 수 57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승낙을 중심으로 / 이홍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571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과 임상연구코디네이터(CRC)의 인식비교/김선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57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법인격에 관한 연구 : 권리주체를 중심으로 / 송지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569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실험시행기관의 실험동물 사용 현황/Moon Seok Yoon, Gwang Hee Lee, Hwang Lee, Tae Jun Lee

발행년 2015 

  • 조회 수 569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발행년 2017 

  • 조회 수 567

1 윤리학 난민과 탈북자의 윤리적 문제 - 아감벤과 레비나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 / 이종원

발행년 2016 

  • 조회 수 567

15 유전학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 유전자 결정론과 생명계급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김광연

발행년 2014 

  • 조회 수 56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발행년 2010 

  • 조회 수 56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 최경석

발행년 2009 

  • 조회 수 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