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845483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지원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An Integrative Review of Clinical Ethics Support Services for Clinical Nurses

  • 저자[authors] 김상희,김두리,서민정,이세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1[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8-7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clinical ethics support services for clinical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method with five steps was applied. In the step of problem identification, three issue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ly published research, research subjects and interventions, and major concepts regarding clinical ethics support services for clinicalnurses. Relevant reports were searched from databases including PubMed, Cochrane library, and JoannaBriggs Institute with key words regarding clinical ethics. Finally, 50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2 were selecte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was empirical with descriptive study designs. Over 60% of this research focused on nurses as research subjects. Only two interventional studies were retrieved. Major concepts related to clinical ethics support services were ethical dilemmas, ethical issues, and ethical decision-making.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that more interventional research is needed in support of ethics training for clinical nurses.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문제를 돕기 위한 임상윤리지원서비스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임상간호사를 위한 임상윤리지원서비스에 대해 통합적 문헌고찰을 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Whittermore & Knafl의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지원서비스와 관련된 연구의 특성, 연구 대상자 및 중재유형, 주요개념을 문제로 규명하였다. 문헌검색에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임상간호사, 윤리교육, 윤리상담, 윤리정책의 단어조합으로 검색된 50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간호사를 위한 임상윤리지원서비스와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경험적 연구(empirical research)였으며, 연구대상자는 60% 이상이 일반 간호사로 나타났다. 또한 최종 선정된 50개의 논문의 대부분은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중재연구는 2편으로 보고되었다. 임상윤리지원서비스와 관련된 주요 윤리적 개념으로는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이슈, 윤리적 의사결정이 주를 이루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예방윤리 관점에서 임상간호사를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임상윤리지원서비스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또한 임상간호사를 위한 임상윤리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발행년 2011 

  • 조회 수 103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험운행에 관한 각국 법안의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3

5 과학 기술 사회 형사사법 분야에서의 로봇 기술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 신현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3

20 죽음과 죽어감 식물 상태 환자와 삶의 질 / 홍석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03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3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 기반의 작업치료 진료행위 현황에 관한 연구: 2011~2015년 / 조승현, 양영애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3

9 보건의료 약사법상 담합행위에 관한 고찰 / 장연화, 백경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3

9 보건의료 환자와 의사간 원격의료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 최현숙, 박규용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3

2 생명윤리 [학술자료] 기회로서의 치매 - 우리는 이 상황(도전)을 어떻게 인지할 것이며 하나의 기회로서 삼을 수 있을까/라이머 그로네마이어, 베레나 로테, 이경의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3

15 유전학 [과학동아 다시 읽기] 유전자 조작 어떻게 바라볼까 / 김재현

발행년 2010 

  • 조회 수 103

1 윤리학 수형자의 치료받을 권리에 대한 법적·의료적 현황과 문제점 / 이석배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3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실패유형 재조명: 복구 가능과 복구 불가능 서비스 / 윤성욱, 서미옥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2

9 보건의료 진단 초기 암 환자의 공유적 의사결정 과정 / 이현주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의 전개과정과 1980-2009년대 호스피스 시설의 공간구성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정미렴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2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2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의 나고야의정서상 접근 및 이익 공유(ABS)에 관한 국내이행 법제 동향 / 김두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지원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김상희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2

1 윤리학 여성주의 윤리적 접근에 따른 임상에서의 설명 동의 / 공병혜

발행년 2009 

  • 조회 수 102

9 보건의료 의약품의 허가 외 사용에 관한 의료적 관리의 필요성과 원칙: 호주, 영국 사례를 통한 시사점 / 박실비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법이론 체계에 관한 일고 / 이인곤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