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53013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Ethical Confidence of Clinical Nurses

  • 저자[authors] 전윤화(Yun-Hwa Jeon ),정귀임(Kwuy-Im Jung),송후승(Hoo-Seung Song),나은선(Eun-Sun Na)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3[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01-51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Ethical dilemma,Ethical values,Ethical confidence,Clinical nurses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임상간호사 12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1월 10일부터 동년 11월 29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 정도는 연령(F=3.14, p=.01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정도는 교육정도(F=7.36, p<.001), 임상경력(t=-2.31, p=.024), 윤리강령 인지여부(t=3.17,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은 윤리적 가치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r=.25, p<.001).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은 윤리적 가치관, 교육정도, 윤리강령 인지여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설명력은 15%였으며, 다른 영향요인 보다 가장 큰 영향력은 윤리적 가치관 (=.28)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윤리적 가치관, 교육정도, 윤리강령에 대한 지식 정도를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실행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ethical confidence among clinic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0th to 29th November 2014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25 clinical nurse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WIN 21.0. to obtain percentage, average, mean rating,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degree of ethical confidence in research target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by age (F=3.14, p=.017), education (F=7.36, p<.001), career duration (t=-2.31, p=.024), and code of ethics knowledge (t=-3.17, p=.002). Ethical Confid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r=.25(p<.001) with the degree of ethical valu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thical Confidence by ethical value, education, and code of ethics knowledge.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15.0%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degree of ethical value(β=.28) was greater than other factors. To help clinical nurses improve ethical confidence, interventions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ethical value, educ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code of eth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such programs to improve ethical confidence in clinical nurse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028 19 장기 조직 이식 효율적인 장기기증 교육 · 홍보 메시지 개발을 위한 연구/선혜진 2017  82
4027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402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402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 의약품 복약지도 항목에 대한 임상시험대상자 및 연구자의 요구도 조사 / 유소현 외 2017  82
4024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4023 1 윤리학 미국사례를 통해 본 의료분쟁의 문화적 해결책 모색 / 김경희 2017  82
4022 18 인체실험 젠더와 국제이주 / 문경희 2018  82
4021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2018  82
4020 9 보건의료 한의의료행위와 법적 문제 / 김형선 2018  82
4019 7 의료사회학 의학교육 평가인증에서 성과측정 지표 개발 연구 / 이영미 2018  82
4018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2
401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률적 의미와 쟁점 / 전승재 외 2017  82
4016 4 보건의료 철학 의과대학에서의 의료법 교육 : 목표, 실천방향 및 접근방법 / 박지용 2017  82
4015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2018  82
4014 2 생명윤리 유전자혁명, 생명의 지속가능성 그리고 책임윤리 / 김문정 2016  82
4013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2004  83
4012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olden Syrian hamster related to human diseases by using CRISPR/Cas9 system / 이재익 2015  83
401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다양성으로 접근하기 / 조길수 2017  83
4010 18 인체실험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임상시험과 피험자보호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14  83
400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장기기증자의 경험에 기반 한 지원체계 마련방안 / 정선주 2017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