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497327 
여성주의 윤리적 접근에 따른 임상에서의 설명 동의 

= Feminist Ethics Approach to Informed Consent in Clinical Practice

  • 저자[authors] 공병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여성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No.-[2009]
  • 발행처[publisher] 한국여성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99-21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9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100
  • 주제어[descriptor] 설명 동의, 여성주의 윤리, 의사소통 윤리, 돌봄의 윤리. informed consent, Feminist ethics, Communicative ethics, Care ethics.

초록[abstracts]
[임상현장에서 의료인은 환자를 자율적 인격체로 대하여 자신의 질병상태나 가능한 치료대안들, 그 예상 징후 등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해야 할 윤리적 의무를 지니며, 환자는 이러한 정보에 대해 충분히 알고 동의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한 권리를 지닌다. 그러나 설명 동의의 바람직한 윤리적 실천을 위해서는 자율적 동의가 실행될 수 있는 의사소통 구조와 동시에 취약한 상황에 처한 환자나 가족에 대한  돌봄의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의료현장에서 상호이해와 합의가 일어날 수 있는 의사소통과 이들에 대한 돌봄의 과정이 없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환자의 인격을 존중하는 설명 동의의 윤리적 실천이 어렵기 때문이다. 여성주의윤리는 설명 동의의 실천현장에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에 의한 동의를 방해하는 관료적 제도와 의료부권주의에 따른 의료관행, 그리고 가부장적 가족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여성주의 실천적 담론은 전문 의료인과 환자나 가족 사이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과정에서 환자 중심의 참여를 촉진시킨다. 여성적 돌봄의 윤리는 인격의 존엄성이 위협받는 취약한 상황에 처한 환자를 상호의존적인 존재로서 이해하여 그들의 관심과 요구를 수용하여 책임을 지는 돌봄의 윤리적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여겨진다. 

Informed consent is widely seen as fundamental to clinical ethics. Informed consent ensures that patient can decide autonomously whether to permit or refuse medical treatment that affect them. From the clinical aspect of consent in health care, healthcare professionals inform patients of the risk, benefits, and alternatives of all proposed treatments and then allow the patient to choose among acceptable therapeutic alternatives. But ethically appropriate informed consent has not been achieved in the clinical practice. For the reason, successfully informed consent must involve a truly shared decision making and a dialogue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patient's relationship with health care professionals, as well as caring for the vulnerable patient. The personal dignity of patient is then respected and protected only by ensuring that they give truly informed consent.  Feminist ethics approach can provide the critical aspect of the clinical practice of informed consent from the aspect of the communicative ethics, namely a feminist practical discourse and care ethics. Feminist ethics points out the critical aspect of the bureaucratic medical institution and authoritarian attitudes of physicians and medical paternalism and patriarchal family culture which interrupt the achievement of the ethical informed consent in clinical practice. Also, patient-centered feminist practical discourse aims to facilitate him participation in the communicative process between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 and family members. And feminine ethics of care provides the ethical aspect for the responsibility and advocacy for vulnerable patient by offering support, trust, promotion of autonomy, and preserving the personal dignity.]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문제제기 2. 임상현장에서의 설명 동의의 윤리적 문제 3. 여성주의 윤리의 생명윤리의 원칙에 대한 비판 4. 여성주의적 의사소통윤리 5. 설명 동의에 있어서 보살핌의 윤리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2014  574
627 15 유전학 유전병과 기형아 및 유전상담 / 김정휘 1996  574
62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조문애, 김달숙 2012  574
62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575
624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2017  575
62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6
622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2016  576
621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 홍선우, 김신미 2013  578
62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 보호와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김종일 2010  578
619 9 보건의료 국제비교를 통한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수가체계 차등화에 대한 연구/김진수 외 2014  578
618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상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그리고 비식별화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의 평가 및 입법론적 논의 / 김후신 2015  578
617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임명호 2015  579
616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책임윤리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 김상철 2003  579
615 22 동물복지 실험동물의 사용과 사육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우상훈 2011  579
61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0
613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61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2016  582
6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610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609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