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956978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을 위한 방향 탐색 - 윤리교사들의 윤리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 Search for Direction for the Application of Ethics Counseling in Ethics Education : Focus on Ethics Counseling Cases of Ethics Teachers

  • 저자[authors] 장승희 ( Jang Seung-hee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3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1-13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윤리상담, 윤리교육, 제도화, 나에 의한 윤리, 상담철학, 윤리교사의 특수성, ethics counseling, ethics education, institutionalization, ethics to myself, counseling philosophy, ethics students`s peculiarity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현장 윤리교사들의 상담 사례를 분석하여 탐구한 것이다. 최근 윤리상담의 대두는 한편으로는 전문상담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한편으로는 소극적 윤리교육에서 적극적 윤리교육으로 전환하는 방안으로 나온 것이다. 윤리적 문제에 대한 상담을 윤리상담이라고 볼 때, `윤리적`이란 개념이 삶 전반을 아우르는 폭 넓은 개념으로 어떤 상담도 윤리상담이 아닌 것이 없게 된다. 따라서 윤리상담은 주제보다는 오히려 상담자인 윤리교사의 특수성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할 필요가 있다. 윤리교사의 특수성은 수업, 관계, 인성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윤리는 삶, 가치, 행복 그 자체를 다루는 유일한 교과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적 친밀성은 신뢰 형성의 토대가 되며, 윤리교사는 누구보다 소명감과 자기 성찰적 노력을 기울인다. 이와 같은 수업 특성, 신뢰적 관계, 성찰적 노력에 의거한 특수성은 학생들이 고민 상담을 위해 윤리교사를 찾는 바탕이 된다. 윤리상담 연구는 적극적인 제도화 주장에서 수업 적용, 임상과 치료 개념의 도입에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장 교사들의 의견과 현재 상담 실태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윤리교사 세 명의 상담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윤리상담의 방향을 찾아보았다. 담임으로, 윤리교사로, 비담임으로 학생들을 상담한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이 나아갈 방향을 찾아보았다. 윤리상담의 목표는 학생들의 `나에 대한 윤리`, `나를 위한 윤리`, `나에 의한 윤리`를 정립하도록 하는 것이며, 윤리상담의 방법은 담임 역할을 통한 심층적 윤리상담, 자연스러운 만남을 통한 윤리교사로서의 윤리상담, 비담임으로서 주제와 학생 특성에 맞는 특성화된 윤리상담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윤리상담이 제도화의 역설에 빠지지 않고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만남이 되어야 하며, 이는 수업에서 이루어진 사제 간 신뢰 관계에 형성에 의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윤리교사의 역할은 무엇보다 핵심이다.

This paper analyzes highschool students` counseling cases to search for direction for ap plication of ethics counseling in ethics education. The rise of ethics counseling is caused by an alternative of limits in the professional counseling partly, a converting method of ethics education from negative to positive ethics education partly. When Ethics co unseling means consulting of ethical problems, the concept `ethical` is too broad the extent of covering all the living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thics counseling. Then, I focus on more students`s peculiarity as counselor than problems as subjec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ethics students are due to lessons, relationship, and humanit y. Ethics is the unique subject which deal with life, value, and happiness itself. The relation intimacy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class lays the foundation of trust. The ethics students more persevere in their efforts for introspection with a sense of duty than anyone else. Therefore Students ask counseling ethics students. It is nece ssary to reflect students opinion for the concrete application in ethics education. I analyz e three ethics students` cases in highschool. The contents of cases are course and result t hat counseling students as a class teacher, ethics teacher, and non class teacher. The object of ethics counseling is helping students to set up `ethics to myself`, `ethics for myself`, and `ethics by myself`. The methods are the deepening ethics counseling by playing class teacher role, the natural ethics counseling as ethics teacher, and the specific ethics counsel ing by matching students` personality and ethical subject.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ethics teacher`s role for success of ethics counseli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08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3607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3606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107
3605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에 대한 논평: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의 범주와 문제점/박형욱 2015  107
3604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360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 WiseQA를 위한 정답유형 / 허정 2015  107
3602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07
3601 9 보건의료 재난적의료비 지출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빈곤화의 매개효과분석/ 이한기 2017  107
360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론에 대한 고찰 2006  107
3599 9 보건의료 A.I. 아바타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 PHAVATAR 앱 개발을 중심으로 / 김태원 2017  107
3598 12 낙태 낙태와 생명윤리 / 김성진 외 2018  107
3597 15 유전학 미국의 유전자 프라이버시 및 유전자 정보 이용과 관련된 법률 분석 및 맞춤의학에의 시사점 / 신승남 2009  107
3596 18 인체실험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드레드』에 나타나는 흑인 여성의 몸 : 데이나와 앨리스를 중심으로 / 강명신 2018  107
3595 12 낙태 불교와 낙태 / 이미령 2018  107
3594 9 보건의료 의료의 패러다임 변화와 4차 산업혁명의 대응 / 선경 2018  107
3593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및 연구에서 이해 상충 관련 문제 / 신은희 외 2015  107
3592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의 동의 관련 윤리 원칙/최경석 2018  107
3591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359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과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07
3589 1 윤리학 규제샌드박스 성공적 안착을 위한 제언 / 배영임, 신혜리 2019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