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04773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 Utilization Behavior of Medical Services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 저자[authors] 이고은(Ko-Eun Lee),임복희(Bok-Hee 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7[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43-45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SES score,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KNHNES,prevalence,subjective health condition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2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상태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적 통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χ²-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남자보다 여자가, 65세 이상, 고졸이상, 무직이 많았고 소득분위는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 직능, 소득분위를 함께 고려한 사회경제적 상태(socioeconomic status; SES)에 대한 점수는 7-8점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응답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으로 느끼고 있었다. 평균유병개수는 1.07±1.497개이며 외래서비스 평균이용횟수는 0.50±.0745회이며, 입원서비스 평균이용횟수는 0.12±0.454회로 외래서비스 이용횟수 보다 낮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병 및 주관적 건강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과 직능, 소득분위 및 SES점수가 낮을수록 평균 유병개수는 많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나쁘게 인식하였다. 현재 앓고 있는 질환에서 입원서비스는 중증일수록, 외래서비스는 만성일수록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SES점수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의료서비스의 이용이 낮았고, SES점수가 낮을수록 의료서비스의 이용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특성이 낮은 집단에게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적절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이 질환에 노출되었을 때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기반의 적절한 보건서비스 체계의 구축 및 시행의 필요성을 시사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behavior of medical serv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prevalence by using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for adults over 25 years old. Frequency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OVA, χ²-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re female than male, 65 years old and over, high school graduate, and unemployed and income quintiles were similar. The SES score considering education level, function, and income quintiles was the highest at 7-8, and most of the respondents felt moderate about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mean number of prevalence was 1.07±1.497, the mean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was 0.50±0.045, and the mean number of inpatient services use was 0.12±0.454.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s with prevalence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Higher age was associated with lower education, skill level, income, and SES score, and average prevalence was associated with poo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More serious prevalence was associated with greater utilization of inpatient services. More chronic prevalence was associated with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In other words, higher SES score was associated with lower overall use of medical services. Lower SES score was associated with higher use of medical services. In conclusion, we must develop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n prevent diseases in groups with low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re is the need to construct and implement a community-based appropriate health service system so that proper medical services can be used.]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00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서의 동의 철회와 재생산 자율성의 재구성 / 유수정 2016  83
4007 9 보건의료 바이오뱅크 내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 / 정창록 외 2017  83
4006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패턴 / 허정미 2018  83
400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대리인 지정제도 도입방안 모색 / 김보배 외 2018  83
4004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2018  83
4003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에 있어서 불교 실천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한명숙 2014  83
4002 19 장기 조직 이식 각막기증 및 이식 활성화를 위한 법제 연구 / 배현아 2010  84
4001 1 윤리학 인간의 시점에 대한 우리 법의 입장 고찰 / 손명세, 유호종, 이경환 2002  84
4000 5 과학 기술 사회 Nanotechnology, Governance, and Public Deliberation: What Role for the Social Sciences? 2005  84
3999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 김원제 2016  84
3998 9 보건의료 식약청의 바이오의약품 분야 평가기반 연구현황 / 유시형 2011  84
3997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의 발달을 둘러싼 현대사회의 법적 과제 -대리모 및 대리출산을 중심으로 / 함철훈 2003  84
399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399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3994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2016  84
3993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이영호, 송영민 2005  84
3992 2 생명윤리 이익동등고려의 원칙의 수용 가능성 / 이기훈 2016  84
3991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양소라 외 2017  84
3990 14 재생산 기술 미혼 여성의 임신능력 보존을 위한 난자 동결에 대한 인식 /조한선, 김혜옥 2017  84
3989 9 보건의료 제네릭의약품 중심 기업의 전략적 딜에 대한 연구 / 유다인 2017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