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547975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한 인간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의 윤리적 프레이밍

= Ethical Framing of Human Germline Genome Editing by CRISPR-Cas9

  • 저자[authors] 전방욱(Bang-Ook J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No.2[2018]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5-4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유전체 편집,인간 생식세포 변형,의료윤리의 네 가지 원칙,윤리적 프레이밍,CRISPR-Cas9,genome editing,human germline editing,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ethical framing

초록[abstracts] 
[새롭게 개발된 부위-특이적인 핵산분해효소인 CRISPR-Cas9은 최근 인간 배아에서 여덟 차례에 걸쳐 유전체 편집을 수행한 바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 생식세포 변형에 관한 그간의 우려를 현실로 만들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CRISPR-Cas9에 의한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을 Beauchamp와 Childress의 의료윤리의 네 가지 원칙이라는 윤리적 프레임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초연구, 전임상연구, 그리고 임상연구에서 윤리적 쟁점과 우려를 분류하였다. 생식세포 편집은 해악금지의 원칙에서 배아의 도구화, 생식세포 기증자 보호, 이익 대비 위험성, 미끄러운 비탈길, 예상치 못한 효과, 인간 유전자 풀의 변화, 장애인의 권리 위협 등의 문제와 우려가 제기된다. 선행의 원칙에서 유용한 과학지식 창출, 임상적용 위험 감소, 유전질환 극복, 유전적 자녀 출산, 건강 복지 기여, 우발적 발견등의 주장이 제기된다.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서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 추적 검사, 비밀유지, 생식 자율성 등의 문제와 우려가 제기된다. 정의의 원칙에서 분배적 정의, 불평등, 인권훼손 등의 문제와 우려가 제기된다. 이 네 가지 의료윤리 원칙에 따른 프레이밍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한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과 관련된 윤리를 더욱 잘 파악하도록 해준다.

CRISPR-Cas9, a newly developed site-specific nuclease, makes old concern about human germline modification real as shown by eight experiments on human embryo. The focus on the paper will be on the ethical framing of embryo gene editing by CRISPR-Cas9. According the four ethical principles by Beauchamp and Childress, the ethical issues and concerns in basic studies, priclinical studies and clinical studies were categorized. Germline editing raises issues and concerns on the instrumentalization of embryos, protection of germline donors, risk-to-benefit ratio, slippery slope, unexpected effect, change of human gene pool, and threat on disability right by principle of non-maleficence. It raises issues on the creation of useful knowledge, reduction of clinical risks, reproduction of genetic children, contribution to health welfare, and incidental findings by principle of beneficence. It raises issues and concerns on the informed consent, follow up experiment, confidentiality, and reproductive autonomy by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And it also raises issues and concerns on inequity and violating human rights by principle of justice. Framing by these 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allow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ethics involved in germline genome editing by CRISPR-Cas9.]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I. 서론  II. 해악 금지의 원칙  III. 선행의 원칙  IV. 자율성 존중의 원칙  V. 정의의 원칙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28 15 유전학 바이오뱅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주현영 2012  899
327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899
32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32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0
324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2016  910
323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2016  911
322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3
32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김정영 2019  914
320 14 재생산 기술 독일에서의 베이비박스와 비밀출산법제 / 신동현 2015  917
»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한 인간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의 윤리적 프레이밍 / 전방욱 2018  927
31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2007  930
31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 성기헌 2019  930
316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 식품(GMO)의 유용성 및 유해성에 대한 비교분석 / 김태형 2001  933
315 5 과학 기술 사회 후쿠시마원전사고와 전문가 윤리- 공학윤리적 관점에서/이재숭 2014  934
314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 연구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 / 민경식 외 2014  936
313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이정미 2005  939
312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2015  940
31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2013  945
310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 김병수 2014  947
30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