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광고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80358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수준과 PR 캠페인의 전제 

= Perception Leve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Premise of a PR Campaign

  • 저자[authors] 김병희(Kim, Byoung Hee),김지혜(Kim, Ji Hy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광고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116[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광고홍보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0-22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호스피스,완화의료,연명의료 결정법,PR 캠페인,Hospice,Palliative Care,Act on Decision Making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PR Campaign

초록[abstracts] 
[이 연구에서는 의료진, 환자 및 보호자, 홍보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 방법을 통해 일반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정보 제공자들의 인식은 크게 전문적·일반적 관점과 긍정적·부정적 관점으로 구별되었다. 정보 제공자들은 호스피스·완화의료를 말기 환자의 육체적, 심리적, 영적 영역에 도움을 주어 환자가 남은 삶을 가족과 함께 안정적으로 보내는 총체적인 의료 서비스로 인식하였다. 일반인들은 자신과는 먼 이야기라 생각해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할 상황에서도 선택을 망설이는 경우가 많았다.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해 거부감을 갖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부정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보 제공자들은 ‘죽음’에 대한 가치를 ‘삶의 존엄한 마무리’로 전환시켜 이를 공론화할 실행 목표를 설정하기를 권고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edical staff, patients and care-givers, and the general public. As a result, the perception of informants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largely divided into professional-general aspects and positive-negative aspects. Informants have recogniz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s a holistic healthcare service that helps the terminally ill patient’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domains in the end, helping patients to spend their remaining lives with their families in a stable manner. The general public often hesitate to choose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 due to mis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negative perception to positive because it has a negative feeling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due to wrong recognition. Informants have recommended turning the value of ‘death’ into ‘a dignified end of life’ and setting action goals to make it public.]

목차[Table of content]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71

9 보건의료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실습 교재 개발 / 은진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71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71

19 장기 조직 이식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인공장기 모델 / 이상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71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1

5 과학 기술 사회 남성돌봄자 증가와 젠더질서의 역동 : 일본남성의 노인돌봄을 둘러싼 담론과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 지은숙

발행년 2017 

  • 조회 수 7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병원윤리위원회 역량강화 교육모듈 개발 / 이강숙

발행년 2012 

  • 조회 수 71

9 보건의료 인공지능의 의료혁신? : 길병원의 왓슨 도입을 중심으로 / 이다은

발행년 2017 

  • 조회 수 7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발행년 2016 

  • 조회 수 7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발행년 2015 

  • 조회 수 71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의 결함과 법적 책임에 관한 고찰

발행년 2016 

  • 조회 수 7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발행년 2017 

  • 조회 수 71

9 보건의료 건강관련정보(data concerning health)의 활용과 문제점 / 최규진,김병수

발행년 2017 

  • 조회 수 71

2 생명윤리 배아 헌법소원 판결문의 부당함에 대한 논증 / 윤성혜

발행년 2017 

  • 조회 수 71

18 인체실험 신약 임상시험의 과정 및 관련지침 / 신상구

발행년 1994 

  • 조회 수 71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Nkx2.5+ 심장전구세포의 isoflurane에 의한 전처치 효과에서의 protein kinase C-ε의 역할 / 송인애

발행년 2016 

  • 조회 수 71

1 윤리학 Toward an Anthropology of Ethics: Foucault and the Pedagogies of Autopoiesis

발행년 2001 

  • 조회 수 71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 이송호, 정일환

발행년 2018 

  • 조회 수 70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데이터 샌드박스에 관한 연구 / 김배현, 권영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7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바이오헬스 규제 / 유명희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