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문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55954 
인공지능 및 사이버휴먼 시대의 윤리적 논쟁과 규범윤리의 요청 

= Ethical Controversies and Requests for Normative Ethic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yber-human Age

  • 저자[authors] 김광연 ( Gwang Yeon Ki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문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1No.-[2018]
  • 발행처[publisher]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5-7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 사이보그, 도덕적 지위, 존중의 대상, 윤리적 주체, 관계중심윤리, Artificial Intelligence, Cyber Humanism, Cyborg, Moral status, Object with Respect, Ethical subjects, Relationship-oriented ethics

초록[abstracts]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이보그의 출현으로 과학기술은 인간과 로봇과의 경계선을 허물어가고 있다. 사이버휴머니즘 시대에 공학 기술은 인간의 몸에 기계를 이식시키는 기능을 가능케 하고, 로봇 스스로가 자의식을 갖는 인공지능 로봇 기술까지 선보이고 있다. 게다가 사이버휴먼 시대에 인간의 몸과 기계가 하나 되면서 자연적인 몸의 해체를 가져왔다. 이는 존재 양식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어서 인류 공동체에 큰 숙제를 남겨놓았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자의식을 가진 인공지능 로봇은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류에게 적지 않는 부담을 던지고 있다. 사이보그는 인간과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가? 윤리적 주체로서의 인공지능 로봇은 인류와 공존할 수 있는가? 인류는 이제 새로운 존재들의 등장으로 전통적 규범 윤리의 한계에 봉착하고 무생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성찰을 필요로 하게 됐다. 그리고 인류는 더 이상 로봇과의 공존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다가오는 미래에 우리는 인공지능 로봇과 함께 생활하면서 새로운 윤리규범을 만들어야 한다. 이 글은 사이버휴머니즘 시대에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리는 윤리적 주체로서의 인공지능 로봇의 공존과 선의 공동체를 지향하기 위해 관계 중심의 윤리를 제시하여 미래 사이버휴먼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With the advent of cyborgs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cience and technology are breaking the line between human and robot. In the age of cyber-humanism, engineering technology is capable of transferring machines to the human body, and the robot itself is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technology with self-consciousness. Moreover, in the cyber human age, the human body and the machine were brought together, resulting in the dismantling of the natural body. Does cyborg have an equal status with humans? C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s ethical subjects coexist with human beings? Human being has now come to the limit of traditional normative ethics by the emergence of new beings and it requires reflection on the moral status of inanimate objects. In the future We must create a new code of ethics while living with an AI robot. Finally,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robots in the age of Cyber Humanism.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exist and cooperat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s an ethical subject, we aim to prepare a cyber human age for the future by presenting a relationship-oriented ethic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68 9 보건의료 남북한 보건의료 인력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위한 제언 / 전우택 2018  28
4667 9 보건의료 의료정보 광고에 관한 대학생의 주관성 인식/이제영 2017  30
4666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대상자의 통합사례관리 방안 연구 : 지방자치단체 총괄 방식의 '행정관리 모델' 중심으로 / 황미경 2010  31
4665 9 보건의료 의료영역에서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의 역할 / 이경권 2013  31
4664 19 장기 조직 이식 일반 신뢰와 정부신뢰가 뇌사 후 장기기증에 미치는 영향 / 이수인 2018  32
4663 9 보건의료 계층적 다중 속성을 이용한 헬스케어 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 / 신승수 2015  33
4662 9 보건의료 의료계획의 수립과 쟁점 / 이규식 2018  34
4661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위한 연수교육 강화방안 / 이혜연 2015  34
4660 9 보건의료 What Makes Health Care Special? An Argument for Health Care Insurance / Horne, L. Chad 2017  34
4659 15 유전학 Disabled by Design: Justifying and Limiting Parental Authority to Choose Future Children with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 Stramondo, Joseph 2017  34
4658 9 보건의료 의료분쟁조정절차의 개시요건에 관한 연구 / 고형석 2018  34
4657 9 보건의료 정부의 통합형 만성질환 관리 사업에 대한 제언 / 김종웅 2018  34
465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의 날을 보내며 / 이동우 2018  34
4655 9 보건의료 심사체계 개편 방향성 / 윤석준 2018  34
465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이규철 2018  34
4653 9 보건의료 의료기술평가 기반으로서의 데이터 연계 / 박종연 2018  34
465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4651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박재원 2013  35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최창익 2015  35
4649 5 과학 기술 사회 [제402회 과학기술정책포럼] 미래사회 변화를 선도할 핵심기술 / 이세민 2016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