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909570 
1상 임상시험 관리 매뉴얼 개발 = Development of Phase 1 Clinical Trials Management Manual

  • 저자[authors] 김선영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127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강길원, 신광수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 201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충청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임상시험,1상 임상시험,관리매뉴얼,임상시험 코디네이터,임상연구 간호사,임상시험모니터요원
  • 소장기관[Holding] 충북대학교 도서관 (243009)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1061

초록[abstracts]
신약 개발은 인간의 건강과 경제적 이익을 가져 왔다. 임상시험은 신약개발에 필수적인 과정으로 임상시험에는 여러 단계가 있으며 특히 1상 임상시험은 사람에게 새로운 약물을 투여하는 첫 번째 단계이다. 따라서 신약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입원 환자 서비스, 간호 요원, 첨단 장비가 필요하며 또한 할당 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이 있어야한다. 그러나 1상 임상시험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재가 없다. 이런 필요에 따라 경영활동 과정인 계획, 조직화, 지휘화 및 통제화의 4개 부분으로 나누어 진 관리 매뉴얼이 개발되었다. 이 관리매뉴얼 개발에는 1상 임상시험의 전문가인 총 7명의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와 임상연구 간호사가 참여하였다. 또한 1상 임상시험 관리 매뉴얼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임상시험 코디네이터, 임상연구 간호사, 임상시험모니터요원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매뉴얼의 특징은 전문가가 집필하였고, 그들의 다양한 임상시험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이 되어있어 실제 1상 임상시험의 실무를 수행하는데 가장 근접한 매뉴얼이다. 그러므로 이 관리매뉴얼은 1상 임상시험을 처음으로 수행하는 임상시험 코디네이터, 임상연구 간호사와 임상시험모니터요원에게 지침서가 되며, 1상 임상시험의 관리자에게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의뢰자와 임상시험수탁기관에게는 1상 임상시험 실시기관을 선택하는데 기준을 제시하고, 나아가 우리나라의 1상 임상시험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초록[abstracts]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has brought about human health and economic benefits. Clinical trial is an essential process in the new drug development. There are several stages of the clinical trial, particularly Phase I is the first step in administering new drugs to human subjects. Therefore, due to the existence of the risk of the new drug, it is necessary to have inpatient services, nursing staffs, and advanced equipments, as well as the management system to efficiently use the allotted resources.    However, despites the importance of the Phase I trials, there are currently no educational materials available. With the needs, the management manual was developed which is divided into four parts: planning, organization, command, and control. A total of 7 people participated in the management manual, including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hereinafter “CRC”), and Clinical Research Nurses (hereinafter “CRN”), who had experience in phase I clinical trials. In addition, I surveyed CRC, CRN and CRA to determine the need for Phase I clinical trial management manual.    The features of this manual were written by the experts and based on their various clinical experiences. It is the most comprehensive manual that can be applied in real settings. Thus, this management manual could act as a guideline to CRC, CRN,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hereinafter “CRO”), and administrators who are performing the Phase I clinical trials for the first time. It may also help the sponsor and the CRO to set standards when selecting the Phase I clinical trials uni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Phase I clinical trials in the Republic of Kore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208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에 미치는 효과/정은영, 박지경 2015  325
3207 15 유전학 우리나라의 나고야의정서의 가입이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박용하, 김준순, 최현아 2012  325
3206 8 환자 의사 관계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제도의 개선방안/전병남 2015  325
3205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설은미, 고진강 2015  325
3204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료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비교 / 박정아, 정덕유 2013  325
3203 18 인체실험 연재11. 인간 대상 연구에서의 윤리 / 안영미 2014  325
320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안전성 이슈와 정책 대응 방안 / 양희태 2018  324
320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결정 갈등, 치료결정 후회와 심리적 스트레스 / 전보민 2016  324
3200 13 인구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국가별 주택관련 정책 비교연구 / 이무희 2016  324
3199 9 보건의료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 최철호 2016  324
3198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3197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2004  324
3196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319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2009  324
3194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3
319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 논쟁 1998  323
3192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3
319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2013  323
3190 2 생명윤리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안선민, 박경일 2016  323
3189 1 윤리학 몸의 성서신학적 이해/백운철 2016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