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보건과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86051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 저자[authors] 이소리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60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박재성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보건과학과 2018.2
  • DDC[DDC] 614.4 21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표준주의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 UCI식별코드 I804:21003-200000011765

초록[abstracts]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Lee So-ri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Kosin University Advising professor : Park Jae Sung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current state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by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factors facilitating or disturbing infection control and those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by healthcare workers. The 314 healthcare workers of a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o provide them with effective ways for the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for each sect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of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e SPSS 18.0 was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scores, reflecting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types of occupations were, 4.21±0.57 (doctors), 4.70±0.42 (nurses), and 4.56±0.45 (medical technicians), showing the differ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In the subcategory reflecting the “respiratory etiquette”, the three types of occupations of the doc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marked the highest scores of 4.49±0.64 (doctors), 4.76±0.47 (nurses), and 4.77±0.44 (medical technicians);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econd, the scores refl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each type of occupations were 3.87±0.59 (doctors), 4.45±0.46 (nurses), and 4.48±0.47 (medical technician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n the subcategory reflecting the “respiratory etiquette”, the three occupations of the doc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marked respective highest scores of 4.17±0.64 (doctors), 4.64±0.52 (nurses), and 4.71±0.50 (medical technicians); the score of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by medical technician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nurses, thi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rd, the scores reflecting the influences of factors disturbing infection control distinguished by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as follows: 2.17±0.77 (doctors), 1.89±0.82 (nurses), and 1.92±0.96 (medical technicians). The degree of influence disturbed the infection control of the subject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f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doctor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05).        Fourth, the scores reflecting the influences of factors facilitating infection control distinguished by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as follows: 2.90±0.71 (doctors), 3.86±0.61 (nurses), and 3.66±0.86 (medical technicians). The degree of influence facilitated the infection control of the subject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f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doctors; the differences in betwe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Fifth,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distinguish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each occupation were examined wherein,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for doctors (p<0.01) and the presence of the experiences of stab wounds (p<0.01) were found produc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Sixth,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subjects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were foun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of infection control (p<0.01) and disturbance of infection control (p<0.05) (doctors);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p<0.001) and facilitation of infection control (p<0.05) (nurses); and the awareness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p<0.001) (medical technicia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levation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tandard precautions to be observed by healthcare workers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as well as the collaboration between managers, peers, and staff of infection control department in a hospital. Besides, the different level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each type of occupations thus require the education programs of infection control customized for each type of occupations; these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observing standard precautions of healthcare workers, and will eventually lead to prevention of the infection related to healthcare practices.

초록[abstracts]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이소리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지도교수 박재성      국문요약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감염관리 방해요인과 촉진요인을 알아보고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개 대학병원 의료종사자 314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직종별 감염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 점수는 의사 4.21±0.57점, 간호사4.70±0.42점, 의료기사 4.56±0.4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하부영역별로는 ‘호흡기 에티켓’ 이 의사 4.49±0.64점, 간호사 4.76±0.47점, 의료기사4.77±0.44점으로 세 직종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둘째, 직종별 표준주의 수행도 점수는 의사 3.87±0.59점, 간호사4.45±0.46점, 의료기사 4.48±0.4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하부영역별로는 ‘호흡기 에티켓’ 이 의사 4.17±0.64점, 간호사 4.64±0.52점, 의료기사 4.71±0.50점으로 세 직종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의료기사의 수행도 점수가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셋째, 직종별 감염관리 방해요인 점수는 의사가 2.17±0.77점, 간호사 1.89±0.82점, 의료기사 1.92±0.96점으로 간호사, 의료기사, 의사 순으로 방해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넷째, 직종별 감염관리 촉진요인 점수는 의사가 2.90±0.71점, 간호사 3.86±0.61점, 의료기사3.66±0.86점으로 간호사, 의료기사, 의사 순으로 촉진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다섯째, 직종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 수행도 차이에서는 의사만 ‘감염관리 교육’ 유무(p<0.01), ‘자상경험’ 유무(p<0.01)에 따른 표준주의 수행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섯째, 직종별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의사는 감염관리교육유무(p<0.01), 방해요인(p<0.05)이 간호사는 표준주의 인지도(p<0.001), 촉진요인(p<0.05)이 의료기사는 표준주의 인지도(p<0.001)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주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은 물론 동료나 관리자, 감염관리부서의 협조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나 수행도의 차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 직종별로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68 18 인체실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운영에서 얻은 교훈 / 이동익 2007  54
4467 15 유전학 인간학과 의학 / 김인경 2004  54
446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은행 운영방안에 대한 제안 / 정교민 2009  54
4465 14 재생산 기술 代理母 契約에 關한 硏究 / 서나영 2016  54
4464 5 과학 기술 사회 창조경제의 신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통한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6  54
4463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지원시스템 모델 개발 / 장광수 2013  54
4462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토론문 / 신현호 2017  54
4461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 김소윤 2017  54
446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성 개념의 명료화를 통한트랜스휴머니즘의 비판적 고찰 / 정연재 2015  54
445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4
4458 15 유전학 발현 유전자 분석을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 이병욱 외 2015  54
4457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 인공지능 시장 진출 전략 연구 / 박성철 2018  54
4456 9 보건의료 의약품 시판허가심사에 있어 정보공개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김나경 2018  54
445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백경희 외 2018  54
4454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의 활용과 인간공학적 의미에 대한 문헌연구 / 박희석 2018  54
4453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4
445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추정: 말기암환자를 중심으로 / 박수경 2017  54
445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연상시키는 기부 캠페인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 김재휘 외 2015  54
4450 9 보건의료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제 / 김민중 2009  54
444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은 사람의 마음 / 김의선 외 2018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