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김혜진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55116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Study of content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n Education leading gender equality in middle school’s moral textbooks - Focused on revised middle school moral textbooks of 2015 -

  • 저자[authors] 김혜진(Kim Hye j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도덕윤리과교육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60[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1-21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양성평등,양성평등교육,도덕교육,도덕 교과서,gender equality,gender equality education,moral education,moral textbook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도덕과의 양성평등교육 개선을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검‧인정 도덕 교과서 9종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양성평등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그리고 양성평등을 실천하기 위한 방향 제시에 있어서는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양성평등 단원의 목표와 성취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기술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학교문화에서 양성평등이 필요한 이유에 대한 서술의 부재, 사례 제시의 양성 불균형, 성차별에 대한 학교사례의 부재, 그리고 학교문화 안에서의 양성평등과 관련된 사진 및 삽화의 부재에서는 한계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연구자는 도덕과 양성평등교육의 개선방안으로 ① 학교에서 발생하는 고정된 성역할과 양성불평등 내용 확장의 필요, ② 성차별 사례 제시에 있어 남녀 차별사례의 비슷한 구성 제시, ③ 양성평등에 대한 사진 및 삽화 제시에 있어 학교와 교실 문화에서 보여 지는 양성평등 사진‧삽화 추가를 제안하였다. 비록 본 연구가 2015 개정 중학교 도덕에 한정지어 양성평등의 교육 내용들을 분석한 연구이기에, 기존 도덕 교과서 또는 고등학교 교과서와 연계해서 살펴보지 못한 한계를 갖지만, 차후 ‘양성평등’단원을 구성하는데 내용 선정 측면과 내용 제시 방식 측면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앞으로 더욱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the revised moral textbook of middle school of 2015 and search for improvement plan in order to improve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moral subject. To do this, I analyzed nine kinds of middle school moral textbooks verified and authoriz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gender equality and the direction to practice gender equality were adequate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gender equality section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However, the limitations were found in perspective of the lack of description of reasons for necessity of gender equality in school culture, the gender unfairness in the presentation of cases, the lack of school case for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absence of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related to gender equality in school culture.    Based on these analyzes, the researcher has suggested the following things as a method to improve morality and gender equality education: ① the need to expand fixed gender role and positive inequality contents in schools, ② suggestion of similar composition of inequality cases as cases of sex discrimination, ③ addition of photos and illustrations about gender equality displayed in school and classroom culture, in suggestion of photos and illustrations of gender equality. As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limited to the revised moral textbook of middle school of 2015, it has limitations that they have not been examined in connection with existing moral textbooks or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future, however, it has the meaning of basic material that can be referenced in terms of contents selection aspect and contents presentation method in constituting ‘gender equality’ section , and it is expected that more research will be done in the futur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 관련 내용 분석 대상과 기준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9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1
3927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2015  521
3926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21
392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2014  521
3924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 개발 및 시장 현황 연구- 인공지능형 로봇청소기 사례를 중심으로/남미경 2010  520
3923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20
3922 9 보건의료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 경험 / 김다연 2018  519
392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2003  519
3920 1 윤리학 일조권에 관한 법적 검토 / 이재삼 외 2016  519
3919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와 여성의 재생산권 / 조영미 2004  519
391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황 및 전망 / 한재권 2016  518
391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2010  518
391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8
3915 14 재생산 기술 인간 사배수체 핵 이식 배아 줄기세포의 특성 규명 / 신동혁 2018  517
391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3913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2013  517
3912 9 보건의료 원격의료제도 현실화 문제와 개선방안 / 이한주 2018  516
3911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3910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 한진아 2007  516
390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