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기독교사회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51109 
종교개혁의 ‘개혁적’ 성윤리 탐색 - 루터와 칼뱅의 남녀관계성과 결혼 및 성적 결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An Exploration of ‘Reformative’ Sexual Ethics of the Reformation: Focusing on Luther’s and Calvin’s Understanding of Gender Relations, Marriage and Sexual Intercourse

  • 저자[authors] 이창호 ( Lee Chang-ho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기독교사회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9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1-19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루터, 칼뱅, 성윤리, 양성평등, 남녀관계성, 결혼, 성적 결합, Luther, Calvin, Sexual Ethics, Gender Equality, Gender Relations, Marriage, Sexual Intercourse

초록[abstracts] 
[한국교회의 상황에서 기독교 신앙과 유교 전통 사이에 지속적이면서 광범위한 상호작용이 있어 왔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점은 한국교회의 성윤리 논의와 형성에도 적용된다. 한국사회 안에서 작동하고 있는 결혼과 성에 관한 유교적 관념, 관습, 실천 등에 대해 기독교 성윤리는 어떻게 응답하고 있고 또 어떻게 응답해야 하는가? 기독교 성윤리는 유교 성윤리가 성차별적 경향을 띠거나 양성평등의 장애 요소로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 혹은 그렇게 작동하고 있는 현실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가? 아니면 성차별(혹은 성불평등)을 교정·차단하고 양성평등을 지지·증진하는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 본 논문에서 필자는 루터와 칼뱅으로 대표되는 종교개혁 성윤리를 남녀관계성(남편과 아내의 관계성) 이해, 결혼과 이혼, 성적 결합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논구할 것이다. 특별히 한국 사회와 교회 안에 자리 잡고 있는 가부장적 윤리와 구조, 성차별적 혹은 여성·억압적 관념과 현실 등을 비평적으로 성찰하고 또 건설적으로 극복 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대안을 종교개혁 성윤리에서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의식을 견지할 것임을 밝혀 두고자 한다. 몇 가지 윤리적 제안을 함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하는데, 한국 교회와 사회 안에서 여전히 작동하고 있는 성차별적 이론과 실천을 교정하는 방향성을 중요한 제안의 논점으로 삼을 것이다.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there has been continuous interaction between Christian faith and Confucianism in the Korean church. This is true to the church’s sexual ethical discourse and its ethical formation. How did and should Christian sexual ethics respond to the Confucian conviction, customs and practices of marriage and sexuality that have been existed in Korean society? Can Christian sexual ethics operate as an ethical alternative that effectively opposes sexual discrimination and promotes gender equal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icate the First Reformers’ sexual ethics - Luther’s and Calvin’s - focusing on their understanding of gender relations, marriage and sexual intercourse. In particular, I hope to explore in the sexual ethics of the Reformation a theore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 that is conducive to reviewing critically the formation and reinforcement of patriarchal and hierarchical thought and practices in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I will conclude with some suggestions which could help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correct its ethical thought and practices that endorse and support women’s inferiority to men and gender discrimin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88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3
3187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강보람 2016  133
3186 9 보건의료 혈액제제의 투여로 인한 HIV 감염에 있어 인과관계의 증명책임 / 최민수 2012  133
3185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은지 외 2016  133
3184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
3183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영국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의 과제와 전망 / 닐런트 2017  133
3182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자 관리사업 세부 영역별 성과 평가방안 연구/ 윤영호 외 2014  133
3181 1 윤리학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이형석 2018  133
3180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 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 / 안영 외 2017  133
3179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에 대한 제한원칙으로서의 위해원칙의 한계/김정아 2015  134
3178 1 윤리학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 이현승 2016  134
317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의한 임신의 주산기 예후 / 이준호 2015  134
3176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317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분석 2005  134
3174 5 과학 기술 사회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문제 / 서주연 2015  134
3173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 송선영 2017  134
3172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순희 외 2017  134
3171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4
» 10 성/젠더 종교개혁의 ‘개혁적’ 성윤리 탐색 - 루터와 칼뱅의 남녀관계성과 결혼 및 성적 결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이창호 2017  134
3169 8 환자 의사 관계 커뮤니티케어에서 의사의 역할이 왜 중요한가? / 이건세 2019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