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자료

그 날, 의사는 없었다

9 보건의료 조회 수 319 추천 수 0 2018.10.17 11:56:53
출처 : MBC PD수첩 1168회 
방송일자 : 2018-10-02 
키워드 : 의료사고, 골든타임, 유아사망 
관련링크 : http://vodmall.imbc.com/Player/Player.as...id=1257545 
 2018-10-17 11;54;32.jpg


* 본 자료는 관련링크에 기재된 사이트에서 무료 열람 가능합니다.  

MBC PD수첩 1168회

그 날, 의사는 없었다

  2년 전 전북대 병원에서 골든타임을 놓쳐 사망한 2세 아이로만 알려져 있는 민건
이. 보건복지부는 3개월여 간의 조사 끝에 의료진 개개인의 문제는 아니었다고 결론
지었다. 하지만 2년이 지난 지금 은 민건이 및 민건이 할머니의 죽음과 관
련한 새로운 사실과 마주하게 되었다. 치료할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방치되어 있었
던 민건이. 전북대 병원에서 그날, 과연 의사는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 민건이는 살릴 수 있었다. 하지만 의사가 없었다.  

 2016년 9월 30일 오후 5시 40분, 2살 민건이와 할머니가 견인차에 치여 전북대학
교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아프다는 말을 할 수 있을 만큼 의식이 있었던 민건이. 그러
나 수술할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14곳의 병원에 전원을 요청하는 사이 심정지까지 
왔다. 


  “의사가 없어서 지금, 학회 준비로 안 계신대요.
  수술 여기서 못하니까. 저희가 원하는 데가 있네요?
  저희가 어떻게 알아요. 저희가... 저희보고 말을 하래요.”
- 민건이 어머니 인터뷰 中  


결국 전북대 병원 도착후 6시간이 지난 밤 11시59분에야 심정지 상태로 중증외상전
문 병원인 수원의 아주대 권역외상센터로 옮겨진 민건이는 결국 과다 출혈로 숨지
고 말았다. 의학교과서에 나와 있는대로만 치료를 했더라도 민건이와 할머니를 살
릴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학회로 인해 수술이 가능한 정형외과 전문의가 남아있지 
않아 방치되어 있었던 민건이. 민건이가 방치되어 있었던 그날, 치료해줄 의사는 없
었다. 


 ■ 전북대병원의 거짓말과 끝없는 사실 은폐  

 사고 당일, 당직 전문의에게 병원 내 응급의료시스템을 통한 문자 한 통이 전송됐
다. 


  “ 000 선생님, 중증외상 환자입니다!”  


하지만 당직 전문의는 응급실에 오지 않았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 어
렵게 만난 그는 학회 준비를 하고 있었을 뿐, 민건이의 상태를 보고받은 적도 없다
고 주장했다. 전북대 병원 역시 정형외과 당직 전문의에게 호출은 없었다고 보건복
지부에 허위보고를 한다. 보건복지부 역시 외상외과 전문의만 호출했다는 전북대병
원 측의 주장을 사실 확인도 하지 않은 채 그대로 인정해 버린다. 
전북대 병원은 또 ‘수술실 2개가 모두 다 가동 중이어서 민건이와 할머니를 모두 수
술할 수는 없었다’고 국정감사에서 밝혔다. 그러나,  취재결과, 이 역시 거
짓말로 드러났다. 전북대 병원 전체 수술실17개 중 수술이 있었다고 하는 2개는 응
을 요하지 않는 비응급 수술이었다. 조직적인 은폐와 비상식적인 주장. 그들이 거짓
말을 해야만 했던 숨겨진 시간의 비밀은 대체 무엇일까? 은 감사원의 보고
서를 토대로 민건이 사망사건의 진실을 파헤친다. 


 ■ 민건이 사망에도 변한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나라 응급실 또는 대형병원 응급실의 가장 문제는 중환자를 자신들이 치료하
지 않고, 자꾸 다른 병원으로 옮기려 한다는 것이다. 중증외상환자에게는 환자를 살
릴 확률이 높은 있는 골든타임 내의 치료가 관건이다. 그런데 치료에 한 시가 급한 
중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자꾸 옮기려 할수록 치료받을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그
만큼 사망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우리 나라  응급실은 수술 할 의사가 없다, 중환자실이 없다, 병실이 없다는 이유로 
자꾸 다른 병원으로 중환자를 이송시킨다. 그 사이 중환자는 치료받을 기회를 빼앗
기고,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고자 정부는 도 별로 권역별 응급의
료센터를 지정하고, 국민 혈세로 적지 않은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민건이 사망사건 사례에서 보듯이, 전북대 병원 같은 권역별 응급의료센터
조차도 병원을 믿고 찾아 온 환자를 자꾸 다른 병원으로 ‘밀어내기’를 하고 있는 것
다. 이러한 문제는 민건이 사망사고 이후에도 전혀 변하지 않고 있다. 환자들이 응급
실에서 병원을 믿고 안심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출처 방송일자 키워드 조회 수
공지 ! 미디어자료 이용 안내       770
203 20 죽음과 죽어감 동영상으로 보는 연명의료결정과정 file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죽음 연명의료법 연명의료결정법 연명의료결정제도  202
202 20 죽음과 죽어감 동영상으로 보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file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죽음, 연명의료법, 연명의료결정법, 연명의료결정제도  266
201 20 죽음과 죽어감 스스로 연명치료를 중단할 권리 생기다 [link] file Hello tv 뉴스  2018-02-06  연명의료결정법, 연명의료, 연명의료제도, 죽음, 사전연명의료의향서  176
200 20 죽음과 죽어감 하루에만 상담 100건…연명의료 중단 서약 잇따라[link] file 연합뉴스TV  2018-02-05  연명의료,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연명의료법, 연명의료결정법  116
199 9 보건의료 외상센터의 민낯을 기록하다 [link] file 그것이 알고싶다 1104회  2017-12-16  권역외상센터, 중증외상의료체계, 보건의료,  83
198 20 죽음과 죽어감 마지막 선택, 아름다운 마무리 [link] file MBC 스페셜 747회  2017-09-14  죽음, 연명의료, 호스피스  283
197 20 죽음과 죽어감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존엄사이야기 file EBS 다큐 [하나뿐인 지구]  2017-01-27  죽음, 존암사, 호스피스, 말기암환자, 뇌사,안락사,연명치료,연명의료,호스피스완화의료법, 사전의료의향서  532
196 20 죽음과 죽어감 시사기획 창 : 어떻게 죽을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50분) file KBS 시사기획 창  2016-04-26  죽음, 웰다잉법, 호스피스, 암환자, 말기환자, 품위있는죽음, 웰다잉, 완화의료  495
195 20 죽음과 죽어감 나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 준비하는 죽음 웰다잉 (03:16) file MBC [기분 좋은 날] 2212회  2015-11-27  안락사, 연명의료, 영상,죽음  421
194 6 전문직 윤리 강령 냉정과 열정사이 - 어린이병동 전공의 72시간 file KBS 다큐멘터리 3일 387회  2015-02-08  보건의료, 어린이병원, 녹화자료, 병원, 의사, 초보의사, 전공의, M미디어자료, 시청각자료, 영상자료, 다큐3일  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