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57296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저자[authors] 정현주,배정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디지털융복합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6No.7[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19-42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만성질환, 노인,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약물복용, Chronic disease, Elderly, Health literacy, Social-support, Medication adherance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 H군에 소재한 2곳의 중소병원을 내원한 만성질환노인 100명이며,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4일부터 2017년 8월 1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대일 면접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약물복용이행은 건강정보이해능력(r=.398, p<.001)과 사회적지지(r=.453, p<.001)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사회적지지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731, p<.001)를 나타냈다.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약물부작용경험 유무였으며 약물복용이행을 25.9%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3.91, p<.001).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만성질환노인에게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약물부작용경험이 없을수록 약물복용이행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만성질환노인의 약물복용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인의 사회적 지지와 정확한 약물복용방법 등이 포함된 맞춤형 의료정보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health literacy, social support and medication adherence in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Method: Participants were 100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two small hospitals in J do H. A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used to measure the study variables from July 14, 2017 to August 14, 2017.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WIN 18.0 program. Result: Medication adherence and health liter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r=.398, p<.001), Medication adherence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r=.453, p<.001) and health literacy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r=.731,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on medication adherance are Experience of adverse drug effect. The explanation is that medication adherence is total 25.9%(F=3.91, p<.001). Conclusion: Thus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enhance medication adherence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for offering customized medical information consider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object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자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방법    2.5 자료분석방법   3.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약물복용 특성    3.2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3.3 일반적 특성 및 약물복용 특성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차이    3.4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간의 관계    3.5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9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1
3927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2015  521
3926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21
392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2014  521
3924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 개발 및 시장 현황 연구- 인공지능형 로봇청소기 사례를 중심으로/남미경 2010  520
3923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20
3922 9 보건의료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 경험 / 김다연 2018  519
392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2003  519
3920 1 윤리학 일조권에 관한 법적 검토 / 이재삼 외 2016  519
3919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와 여성의 재생산권 / 조영미 2004  519
391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황 및 전망 / 한재권 2016  518
391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2010  518
391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8
3915 14 재생산 기술 인간 사배수체 핵 이식 배아 줄기세포의 특성 규명 / 신동혁 2018  517
391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3913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2013  517
3912 9 보건의료 원격의료제도 현실화 문제와 개선방안 / 이한주 2018  516
3911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3910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 한진아 2007  516
390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