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신경과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912615 
 뇌공학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Ethical issues of Brain engineering

  • 저자[authors] 김진국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107쪽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영환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신경과학전공 201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상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뇌공학,의료윤리
  • 소장기관[Holding] 영남대학교 도서관 (247017)
  • UCI식별코드 I804:47017-200000108163
초록[abstracts] 
국문요약
 한 국가의 의료체계는 의료윤리에 입각한 공공성과 사회정의가 확보될 수 있도록 운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의료체계는 공공성이 대단히 취약하고, 그것은 각종 보건지표에서도 확인된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생명공학과 뇌공학 같은 첨단의학기술을 4차 산업혁명의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윤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산업은 의료양극화를 부추기고 의료의 공공성을 훼손할 뿐 아니라, 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자율성을 위협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핵심사업은 경제성과 실용성 측면만 강조되고 있다. 첨단기술은 실지 활용이 되었을 때 그 결과는 순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통제불능의 역기능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뇌공학은 기계와 인간의 경계를 무너뜨림으로써 휴머니즘이라고 하는 의료의 본질마저 훼손하고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윤리적 측면의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뇌공학과 같은 첨단의학기술이 의료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기준은 반드시 인간이어야 하고, 사회변화에 의해서 소외되고 배제된 사회적 약자들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의료의 본질이 휴머니즘이기 때문이다.
  기계와 기술이 인간과 경쟁하게 된 이 시대에 첨단의학기술에 대한 비판과 성찰은 인간을 위한 의료의 정체성과 의사의 직업 정체성을 지켜내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이 논문은 철학을 포함한 간학문 연구(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려 한다.  이것은 의학기술이 생명을 제작하고 생산하는 기술이 아니라 인간성과 휴머니즘을 위한 예술이 되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전문직업으로써 의사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의료의 본질과  정의로운 의료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의사들이 감당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27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본인부담금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최성은 2018  171
4026 9 보건의료 정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의 쟁점과 과제/김계현, 김한나 2018  2741
4025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영리병원 도입 시 재무적ㆍ경제적 효과 분석/김원식 2018  143
4024 22 동물복지 EU에서 동물복지와 실험동물 보호에 관한 연구 : EU화장품동물실험금지규정을 중심으로/이형석, 김정기 2018  415
4023 7 의료사회학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기술 개발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유선길 2018  604
4022 9 보건의료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의료서비스 제공의 경제성 연구/최솔지 2018  290
4021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우현, 박정원 2018  96
4020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49
4019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401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장액성 난소암에서의 전이인자 PUAF 기능 연구 /정현희 2018  192
401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AI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김승래 2018  245
401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AI시대 인성교육의 방법과 전망/유성선 2018  304
401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보안 패러다임과 책임구조의 변화 : 규범의 역할과 보안정책의 원칙/윤상필 2018  144
4014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2018  132
» 17 신경과학 뇌공학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김진국 2018  341
401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와 신공공성 / 최상옥 2018  55
4011 5 과학 기술 사회 법적 주체로서 자율적 인공지능 로봇 I : 의의와 관점 / 김건우 2018  225
4010 9 보건의료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주 외 2018  195
4009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
4008 15 유전학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본유전자 편집 특허의 제문제 / 진영진 2018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