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로봇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9203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 

=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in Robot Ethics for Elementary Students


  • 저자[authors] 박주현
  • 발행사항 청주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한정혜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로봇교육  2018.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충청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청주교육대학교 도서관 (243006)
  • UCI식별코드 I804:43006-200000014619

초록[abstracts]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실과 교과에 도입된 로봇교육은 로봇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어 로봇윤리에 대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로봇 관련 영역에서 로봇윤리와 관련된 내용으로 하나의 성취기준을 할애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미 실생활에서 다양한 로봇을 접하는 초등학생에게 로봇윤리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 로봇교육 전문가 및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주로 접하는 로봇의 종류를 알아보았다. 또한 문헌 연구를 통해 로봇으로 야기되는 윤리적 사례들을 수집하고, 초등 로봇교육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현장에서 로봇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이 숙지해야 할 로봇윤리 교육 내용들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내용들로 작성된 설문지로 초등 교사들에게 로봇윤리 교육 내용의 중요도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이 많이 접하는 로봇으로는 드론, 카메라 로봇, 로봇청소기 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한 로봇은 드론이었으며 이를 통해 드론 중심의 로봇윤리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로봇과 관련된 3주체를 ‘설계·제조자’,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로 설정하여 로봇과 관련한 기존의 원칙들을 분류한 결과, 기존 원칙들이 ‘설계·제조자’와 ‘서비스 제공자’의 윤리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 윤리가 로봇의 특성에 따라 구체적으로 명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드론과 교구로봇 관련 윤리 교육 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사용자 윤리에서 사생활 보호와 관련한 내용들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었으며 과몰입 및 중독에 대한 내용들이 가장 낮은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90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3907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390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3905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3904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4
3903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4
3902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3901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3900 12 낙태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김선화 2008  512
3899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3898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2
3897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3896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임상에 있어서 줄기세포 치료제 활용 / 고예린, 윤화영, 채준석 2012  512
389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2
3894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3893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반성 : 배아복제(embryo cloning)를 중심으로 / 한병기 2005  511
3892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1
3891 15 유전학 인체유래 생물자원 관련 생명윤리정책 제언 / 조순로, 설성수 2010  511
3890 22 동물복지 윤리적인 동물 실험의 철학적 옹호 가능성 검토 / 목광수 2010  510
3889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