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36847 
 4차 산업혁명과 AI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 
= Legal Tasks and Prospe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I Era

  • 저자[authors] 김승래(Kim, Seung Ra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70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5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4차 산업혁명,AI시대,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지식재산권,지능정보사회,특허권,저작권,4th industrial revolution,AI era,Artificial intelligence,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ntellectual property rights,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patents,copyright

초록[abstracts]
[4차 산업혁명(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은 3차 산업혁명의 연장선에서 시작하여,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요소는 개별적으로 발달한 각종 기술들이 ‘융합’하면서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AI)이 그 중심에 서있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AI시대가 우리사회에 미칠 영향은 우리의 상상력을 뛰어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인간이 기술중심사회를 경험한 역사가 웅변하고 있듯이, 지능정보사회인 4차 산업혁명의 AI시대는 AI로봇과 공존하는 사회가 될 것이다. AI시대에는 로봇이 사람의 일을 대신하게 함으로써 여가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에 인류의 삶은 더욱 더 풍요롭게 할 수 있다는 스마트사회가 될 것이다.    인공지능은 머지않아 인간을 위한 보조수단을 벗어나 인간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언론에서 인공지능이 대체하게 될 직업을 순위를 매겨 보도하기도 한 바 있는데, 우리를 놀라게 한 것은 판사, 변호사, 의사와 같은 법률 또는 의학과 같은 전문직업인을 대체할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공지능에 관한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국내외 법조계에서도 변화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법률정보를 리서치 하는 프로그램과 판례예측 시스템, 법률통계에 관한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등 인공지능이 접목된 시스템이 이미 개발돼 상용화 되고 있거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집대성한 ‘인공지능 법조인’탄생이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AI시대에 논의되고 있는 민사 · 형사 · 지식재산권에 관한 법적 과제와 쟁점, 그리고 AI시대에 도래할 지능정보사회로서 스마트사회에 대한 전망을 AI로봇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향후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에 따라 AI가 만들어 낸 창작물에 대한 법적 과제를 논의했으며, 사람을 대신해서 일자리를 보충해줄 AI로봇의 법적 지위에 대한 법적 안정성을 고려해 법인격을 부여하는 문제, AI가 저작자 내지 발명자의 지위에서 지식재산권법 관련 문제, 로봇의 규제와 윤리에 관한 문제 등에 대해서 현행법의 해석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법의 공백상태에 있는 쟁점에 관해서는 입법론을 개진하였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 started from the extension of the tertiary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l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re ele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on the software of the computer, while the individual developed technologies converge.    The effects of the AI era on the Korean society will be beyond our imagination. As the history of humans in technology-centered society is eloquent, the AI a 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will be a society coexisting with AI robots. In the AI era, robot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leisure time by replacing people`s work, which will make the life of mankind more enrichable.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grow rapidly as a means of replacing humans away from auxiliary means for humans. The media has also listed the job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replace, and it is said that surprise us will replace professionals such as judges, lawyers, and doctors, such as law or medicine. Thanks to such brilliant develop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laws of the country and around the world are also pushing for change. A system incorpo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a program for researching legal information, a forecasting system for boards, and a big data processing system for legal statistics has already been developed, commercialized, or under development. There are also observation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rtificial intelligence lawyers` that can compose these technologies.    I examined the legal issues and issues related to civil, criminal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iscussed in the AI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rospects for smart society as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at will emerge in the AI period. In the future, we discussed the legal issues about AI created by the arrival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issue of granting legal personality in consideration of the legal stability of the legal status of the AI robot to supplement the job on behalf of the person, In the case of the inventor, the issue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the regulation of robot and the problem of ethics are examined in the light of interpretation theory of current law.]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도래  Ⅲ. 지능정보사회의 법적 과제와 전망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27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본인부담금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최성은 2018  171
4026 9 보건의료 정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의 쟁점과 과제/김계현, 김한나 2018  2741
4025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영리병원 도입 시 재무적ㆍ경제적 효과 분석/김원식 2018  143
4024 22 동물복지 EU에서 동물복지와 실험동물 보호에 관한 연구 : EU화장품동물실험금지규정을 중심으로/이형석, 김정기 2018  415
4023 7 의료사회학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기술 개발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유선길 2018  604
4022 9 보건의료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의료서비스 제공의 경제성 연구/최솔지 2018  290
4021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우현, 박정원 2018  96
4020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49
4019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401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장액성 난소암에서의 전이인자 PUAF 기능 연구 /정현희 2018  192
»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AI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김승래 2018  245
401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AI시대 인성교육의 방법과 전망/유성선 2018  304
401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보안 패러다임과 책임구조의 변화 : 규범의 역할과 보안정책의 원칙/윤상필 2018  144
4014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2018  132
4013 17 신경과학 뇌공학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김진국 2018  341
401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와 신공공성 / 최상옥 2018  55
4011 5 과학 기술 사회 법적 주체로서 자율적 인공지능 로봇 I : 의의와 관점 / 김건우 2018  225
4010 9 보건의료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주 외 2018  195
4009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
4008 15 유전학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본유전자 편집 특허의 제문제 / 진영진 2018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