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倫理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08166 


소비자 윤리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교육 

= Moral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Ethics


  • 저자[authors] 임상수 ( Lim Sang-soo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倫理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7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9-11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 로봇, 윤리교육, 소비자 권리, 소비자 책무, 알 권리, AI, robot, moral education, consumer`s right, consumer`s responsibility, right to know

초록[abstracts]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에 대한 낙관적 기대와 비관적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인공지능에 관한 철학적, 윤리적 연구들은 대부분 인공지능과 인간지능의 경쟁,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인공지능의 자율성 등의 주제에 천착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개발자나 공급자의 윤리와 더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인공지능의 철학적 존재론과 인식론에 관한 이해를 갖는 것도 의미있지만, 학교에서 가르치는 윤리 교과 내에서 인공지능과 관련된 정보윤리 내용요소들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좀더 실생활과 밀접한 실용적 윤리 문제들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이 적용된 상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겪게 될 여러 가지 윤리 문제를 소비자의 권리와 책무라는 측면에서 전망하였다. 10대 소비자 권리와 6대 소비자 책무를 제안하며, 각 항목별로 예상되는 문제와 윤리적 쟁점들을 정리하였고, 윤리교육의 3대 성취목표인 인지, 정의, 행동 영역별로 지향해야 할 덕목과 역량들의 예시를 검토하였다.,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nd Big Data technologies can be called the Big 3 key words of the era of AI. About the future of AI tech, many optimistic forecasting and deep pessimistic concerns are crossing at the same time. Most of the discussions have focused on topics such as competition between AI and Human Intelligence, and the level of AI’s autonomy. These discussions have a closer connection with the developer and provider ethics. It is important to know about the philosophical ontology and the epistemology of AI, but for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many topics in daily life and more practical contents are needed. From the standpoint of consumers who purchase and use produc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 technology, I have anticipated various ethical problems to be experienc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 propose 10 consumer rights and 6 consumer responsibilities, and summarize the anticipated problems and ethical issues for each item. Furthermore, it exemplifies the virtues and competencies to be pursued by three areas of ethics education: cognition, emotion, and practic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368 18 인체실험 전문가들의 미래기술 예측은 왜 빗나가는가? / 박보야나 외 2015  123
1367 2 생명윤리 [학술자료]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전망 안에서 방법의 문제/아드리아노 페씨나, 정재우 2016  123
1366 9 보건의료 의료행위와 대리승낙/이석배 2014  123
1365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 지침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논란에 대한 법적, 윤리적 검토 / 유호종 2002  123
136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상담 평가에서 기대되는 것 / 손예나, 이상엽 2017  122
1363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김호경, 신동희 2015  122
1362 9 보건의료 미국의 사과법 및 디스클로져법의 의의와 그 시사점 / 이원 외 2018  122
»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윤리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교육/ 임상수 2017  122
1360 20 죽음과 죽어감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 데이비드커로 2017  122
1359 9 보건의료 위약반응으로 바라본 우리 삶의 의학 / 임영채 2013  122
1358 2 생명윤리 왕양명과 생명윤리와 전인적 인간관 / 양선진 2018  122
1357 14 재생산 기술 임상연구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 전균호 외 2009  122
135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여부에 대한 기초론적 고찰 2010  122
1355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규제의 특성과 규제거버넌스(Governance)의 재구성 / 김유환 2016  122
135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과 생명연장의 경제적 가치: 실증분석 결과 / 류근관 2014  122
135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 김원희 2009  122
1352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환경 점검과 정책 방향 / 김윤경 2017  122
1351 15 유전학 In vivo selective gene knockout through in situ delivery of RNA-guided Cas9 nuclease using lipidoid / 송명재 2014  122
1350 12 낙태 낙태규제에 있어서 형법의 효용성 / 정현미 2011  122
134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생명윤리학적 연구 / 이선희 200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