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문과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91768 


 성과사회와 철학적 병: 샌델의 정의론으로 치유하기 

=Achievement Society and Philosophical Illness: Curing through Sandel’s Theory of Justice


  • 저자[authors] 하종수(Ha, Jong-Su),최희봉(Choi, Hee-B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문과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5No.-[2017]
  • 발행처[publisher]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25-25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피로사회,성과사회,마이클 샌델,임상철학,철학실천,철학적 병,Burnout Society,Achievement Society,Michael Sandel,Clinical Philosophy,Philosophical Practice,Philosophical Illness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한병철이 『피로사회』에서 논의한 성과사회의 문제들을 철학실천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이 문제들을 철학실천의 한 분야인 임상철학의 관점에서 철학적 병의 일종으로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처방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논자는 이런 처방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한병철의 한계들을 마이클 샌델의 견해를 원용하여 보완하고자 시도할 것이다. 이를 통해 논자는 현대사회에서 관찰되는 특정 유형의 철학적 병의 정체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임상철학적 진단과 처방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먼저 김영진의 임상철학적 접근법에 주목하여 철학적 병의 정의와 분류를 살펴보고, 이것을 한병철이 지적한 성과사회의 문제들과 대비시켜 우리사회의 철학적 병리현상으로 재해석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런 문제들에 대해 한병철이 취하는 포스트모던적 접근이 지닌 한계를 논하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마이클 샌델의 공동체주의적 정의론 중 ‘연고적 자아’와 ‘자기통치’ 개념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나아가서 논자는 이러한 진단과 처방의 내용을 코헨의 논리기반 치료(LBT)의 형식에 담아 재구성함으로써 본고의 임상철학적 취지와 방식을 선명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즉 철학적 해독제(philosophical antidote)를 사용하여 내담자의 중대 오류(cardinal fallacies)를 극복하는 LBT의 접근법에서 본다면, 이 논문은 성과사회의 중대 오류인 성과중심적 사고를 뛰어넘는 행동적 성향으로서의 초월적 덕(transcendental virtue)을 샌델의 정의론에서 찾아 이를 철학적 해독제로 처방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utilize problematic aspects of achievement society discussed by Byungchul Han in his book Burn-out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philosophical practice. That is, we diagnose these problems as a kind of philosophical diseases in terms of clinical philosophy, which is a field of philosophical practice and propose prescriptions for the diseases. Furthermore, an attempt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Han’s prescription by taking the view of Michael Sandel will be made. Through this, we will identify specific type of philosophical illness observed in modern society,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linical philosoph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such specific type of philosophical illness.    To this end,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philosophical illness will be looked into by focusing on Youngjin Kim`s approach to clinical philosophy, and then by applying them to the problems of the achievement society Han indicated, writers will reinterpret them as philosophical pathology of our society. Next, the limitations of post-modern approaches to these problems are discussed and to supplement such limitations, writers will focus on Michael sandel’s concept of ‘encumbered self’ and ‘self-government’.    In addition, we try to clarify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clinical philosophy by reconstructing the contents of these diagnoses and prescriptions in the form of Elliot Cohen`s logic-based therapy(LBT). Through the LBT approach, which overcomes the client`s cardinal fallacies using a philosophical antidote, this study is prescribing the transcendental virtue that is well beyond achievement-centered thinking, which is one of the cardinal fallacies of achievement society, as a philosophical antidote out of Sandel"s theory of justic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1. 서론  2. 선행연구  3. 철학적 병과 성과사회  4. 샌델의 처방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968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여성의 재생산 권리에 대한 법여성학적 고찰 / 김은애 2003  536
3967 11 피임 북한이탈여성의 피임인식 및 피임교육의 필요성 / 한소희 2018  535
396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악용한 테러가능성과 대응전략/이만종 2017  534
3965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4  534
3964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 최순옥 2014  534
396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34
3962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33
3961 1 윤리학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의 의미와 의료법상 원격의료 부분의 개정방향 -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0도1388 판결을 중심으로 / 전진하 2015  533
3960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과 도덕적 추론/이재숭 2013  533
3959 5 과학 기술 사회 SF 영화에 등장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분류체계/신선아, 정지훈 2016  533
3958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 / 최령, 황병덕 2012  533
3957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2
395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동의과정에서 피험자 보호 방안 / 이연진 2013  532
3955 5 과학 기술 사회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간 지휘·협력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세월호, 메르스, AI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황요한 2018  531
39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1
3953 14 재생산 기술 생명의료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여성의 재생산권리에 관한 연구 : 생식세포 기증 및 보조생식술에 관한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08  531
395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3951 22 동물복지 피터 싱어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의미 / 김대현 2014  530
3950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3949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