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05710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 Public Awarenes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s
  • 저자[authors] 문세연(SeYeon Mun),윤영미(Young Mi Yun),한태화(Tae Hwa Han),이상은(Sang Eun Lee),장혁재(Hyuk Jae Chang),송시영(Si Young Song),김현창(Hyeon Chang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4[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21-62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디지털 헬스케어,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스마트폰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웨어러블 디바이스,유헬스,Digital healthcare,Internet health service,Smartphone healthcare application,U-health,Wearable device


초록[abstracts]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만성질환 환자 증가로 인한 빠른 의료비 지출 상승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존 서비스의 이용자인 환자 외에 일반인까지 수요자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의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현황 및 요구 파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 스마트폰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헬스 등 4개 부문에서 각각의 서비스 이용 경험, 이용 목적 및 보완점 등을 조사하고, 제공 받고 싶은 헬스케어 서비스 및 콘텐츠 유형, 이용 의사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일반인들의 디지털 헬스에 대한 인식과 현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미충족 서비스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rapid population aging and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the digital healthcare services are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Recent improv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has expanded the consumer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from the patients to the general population.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studies on the status and needs of digital healthcare users in genera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00 people on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four areas of digital healthcare: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rvice, smartphone healthcare application, wearable device, and u-health. The questionnaire asked the respondents about their past experience of using digital healthcare services, the purpose of use and point to be improved. The respondents were also asked about new type and content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which they would like to use. The survey results will help developer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by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and identifying unmet need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6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48
66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윤리 교육에서 영화 및 역할극의 이용가능성 및 효과성 비교/정석희, 신자현 2015  548
666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49
665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2015  549
664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박상은 2014  550
663 15 유전학 우리나라 ABS(나고야의정서) 대응정책의 평가와 과제/홍형득, 임홍탁, 조은설 2013  550
662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기술 판결 사례로 바라본 합성생물학에서의 지식재산권 활용 / 정상배 2017  550
661 2 생명윤리 자유주의 우생학에 관한 생태신학적 비판 및 재구성 / 김광연 2018  550
660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1
65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이민혜 2014  553
658 14 재생산 기술 남성의 시선에 갇힌 여성들 / 이민희 2016  553
65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조계화 외 2015  555
65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65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조병필 2005  556
654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0
653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2014  561
65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고찰 / 민경매 2003  561
65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65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
64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후 조기 수술적 합병증의 99mTc-MAG3 신장 스캔 / 김인수 2005  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