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의료과학과(협동과정) 의료IT공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73421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기술 개발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Major Technologies and the Future Advancement of Digital Healthcare


  • 저자[authors] 유선길

  • 발행사항 아산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오동익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의료과학과(협동과정) 의료IT공학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충청남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디지털헬스케어,Tele-Health,E-Health,U-Health,M-Health,S-Health,헬스케어3.0,딥러닝,인공지능,4차산업혁명

  • 소장기관[Holding]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244009)

  • UCI식별코드 I804:44009-200000012799

초록[abstracts]

의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전염병을 관리하던 헬스케어 1.0 시대와 질병치료에 전념하던 2.0의 시대를 지나 질병 없이 오래 사는 건강장수를 목표하는 헬스케어 3.0의 시대를 맞고 있다. 현대의학은 이미 많은 치명적 질병을 극복할 수 있게 하였고, 인간의 수명을 늘려주었다. 2016년 기준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2.4세로 OECD 회원국 중 4번째로 높으며, 이제 곧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그러나 이제 사람들은 얼마나 오래 사느냐가 아니라 어떤 상태로 사느냐를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헬스케어 3.0 시대에는 상시적인 건강관리를 통한 질병의 예방이 가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헬스케어 분야에 ICT기술 적용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에 ICT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술의 발전 방향과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 중요 분야에 대한 기술적/분석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더 나아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이 분야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캄보디아에서 원격의료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시행한 후 이에 대한 실효성을 검증하였고,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을 통해 미래의 일상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기반기술을 시험해보고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기기용 앱을 질병(이명)치료에 적용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의 가능성을 시험하였으며, 실버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하여 낙상을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 후, 이러한 기술이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얼마나 더 유용하게 발전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미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분야의 발전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8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임진옥 2006  77
587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2018  77
586 5 과학 기술 사회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신은미, 양승민 2018  77
58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2018  77
584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2008  77
58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2017  77
582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2008  77
581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580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
579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578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57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576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575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574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573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572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571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570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
569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