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文集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15364 
뉴질랜드 동물복지법과 대형유인원 프로젝트 : 대형유인원의 법적 지위와 문제점 

= Animal Welfare Act in New Zealand and the Great Ape Project : Legal Status and Some Problems of Great Ape

  • 저자[authors] 유선봉(Yu, Seon-B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法學論文集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5No.1[2011]

  • 발행처[publisher] 中央大學校 法學硏究所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9-249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1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30.05

  • 주제어[descriptor] 뉴질랜드 동물복지법,동물복지코드,대형유인원,대형유인원 프로젝트,원고적격,Animal Welfare Act in New Zealand,Animal Welfare Code,Great Ape,Great Ape Project,Standing



초록[abstracts] 
[When New Zealand’s parliament passed the Animal Welfare Act 1999 which banned the use of non-human hominids in research, testing, and teaching except where such uses are in the hominids’ best interests. New Zealand became a world leader in great ape protectio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briefly examines the history, major features, animal welfare code, enforcement and penalties of the Act. It analyzes, thereafter, relevant provisions relating to great ape. Part Ⅲ of this article discusses the Great Ape Project, explaining a United Nations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Great Apes and practices of major countries. As is well known, all members of the Homindae Family, such as humans, chimpanzees, bonobos, gorillas, and orangutans, share complex cognitive aptitudes. However, only humans have legal rights to life and personal security. And also great apes have been classified as endangered species due to deforestation, hunting and wars etc.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book titled “Great Ape Project” was published by 34 authors, in 1993. The authors argues that humans are intelligent animal with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life. If great apes also display such attribues, they deserve the same consideration humans extend to members of their own species. In the same year,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the same name was established by primatologists, anthropologists, ethicists, and other experts who advocate a United Nations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Great Apes that would confer basic legal rights on non-human great apes. The Great Project ultimately seeks full moral and legal personhood for great apes. This paper explores, thereafter, the reasoning behind the 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District of Columbia’s decision in Animal Legal Defense Fund, Inc.(ALDF) v. Glickman which is a landmark decision for promoting humane treatment for animals. It attempts to analyzes, in particular, the standing requirements which are injury in fact, causation, redressability and zone of interests.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it proposes several solutions for protecting fundamental interests of animals, particularly great apes such as granting legal standing to great ape, introduction of a guardian system and a private right of action provisions etc. The most desirable solution would be to permit plaintiffs, such as animal welfar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meeting the standing requirements, to represent animals and assert claims on behalf before a court.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als mentioned above can be actualized in the near future through the efforts of animal welfare organizations, individuals, the judiciary and Congress.]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뉴질랜드 동물복지법 : 개관  Ⅲ. 대형유인원 프로젝트(GAP)  Ⅳ. 대형유인원의 보호와 법적쟁점 : 원고적격 문제  Ⅴ. 결어  참고문헌  [Ab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68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2016  547
667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48
66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48
665 2 생명윤리 자유주의 우생학에 관한 생태신학적 비판 및 재구성 / 김광연 2018  548
664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2015  549
663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박상은 2014  550
662 15 유전학 우리나라 ABS(나고야의정서) 대응정책의 평가와 과제/홍형득, 임홍탁, 조은설 2013  550
661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기술 판결 사례로 바라본 합성생물학에서의 지식재산권 활용 / 정상배 2017  550
660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1
65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이민혜 2014  553
658 14 재생산 기술 남성의 시선에 갇힌 여성들 / 이민희 2016  553
65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조계화 외 2015  555
65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65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조병필 2005  556
654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58
653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2014  561
65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고찰 / 민경매 2003  561
65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65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
64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후 조기 수술적 합병증의 99mTc-MAG3 신장 스캔 / 김인수 2005  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