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28865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 
= Restriction on the of right to life and Protection of its essential aspect


  • 저자[authors] 권건보(Kwon, Geon B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4No.4[2013]

  • 발행처[publisher]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생명권,생명보호의무,생명권 제한,법률유보,생명권의 본질적 내용,과잉금지 원칙,right to life,duty to protect the human right to life,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statutory reservation,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to life,principle of proportionality


초록[abstracts]
[본고에서는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생명권의 주체와 내용 등에 관한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면서, 특히 생명권에 대한 제한과 본질적 내용침해 금지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인간의 생명은 다른 어떠한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생명권은 가장 소중한 가치를 가진 인권이라 할 수 있다. 우리 헌법상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가장 근본적인 기본권이라 할 수 있으며, 헌법상 보장되는 모든 권리들의 전제가 된다. 따라서 국가는 생명권의 보호를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의무를 진다.     이념적으로 인간의 생명은 절대적 가치를 가지지만, 사람의 생명은 예외적으로 법적인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타인의 생명을 구하거나 보호하기 위해서 부득이하게 특정인의 생명을 박탈하지 않으면 안 되는 예외적 상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명권도 다른 기본권과 마찬가지로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법률유보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국가는 그러한 예외적 상황에서 특정인의 생명권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런데 생명권은 본질적 내용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명권의 제한은 언제나 생명권을 형해화시키는 생명의 박탈을 초래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이 엄격한 예외적 상황에서 과잉금지원칙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다면, 그러한 생명권의 제한은 헌법상 금지되는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다., 
This Study reviewed the constitutional issues on the right to life, especially whether the right to life may be restricted under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infringes the essential aspect of that right.    According to my study, human lif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and human right in law because it is not irreplaceable with any other things. While the right to life is not expressly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we can admit that the right is the most fundamental right and precondition to all the rights set forth in the Constitution. Thus the government has a duty to make proactive efforts to protect the human right to life.    Even if a person"s life in an ideal sense is regarded to have an absolute value, legal assessment on a person"s life can be permissible as an exception. Because there can be exceptional circumstances where a person"s life must be inevitably taken away in order to protect or save another’s life. As a result the right to life may be subject to the statutory reservation under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government may take measures to restrict on a particular person"s right to life in such exceptional circumstances.    Since the right to life consists only of 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any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always results its total deprivation. However the right to life is a fundamental right that may be justifiably restricted in exceptional cases. If the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may be justified und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t shall not be deemed as an infringement of the 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to life.]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설 Ⅱ. 생명권의 보장 Ⅲ.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 보장 관련 논의 Ⅳ. 생명권의 본질적 내용의 보장 Ⅴ. 결어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88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김상현 2014  235
2587 1 윤리학 황우석 사태 前後 일간지의 건강의료보도 태도 변화 연구 :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 서한기 2007  235
2586 9 보건의료 헬스케어와 보험업법상 쟁점 - 헬스케어서비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 김영국 2019  234
2585 13 인구 저출산 해결을 위한 의사의 역할 / 하정훈 2017  234
2584 2 생명윤리 생명공학분야 특허출원 심사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진영진 2012  234
258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주치의의 뇌사추정자에 대한 장기기증 의뢰 및 발굴 경험에 대한 연구 / 김순일 외 2013  234
2582 23 연구윤리 특수교육 분야의 인간대상 연구윤리 실태 및 발전방향 탐색 / 허유성 외 2012  234
2581 22 동물복지 공학윤리와 동물이용연구/김성한 2008  234
2580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주병철, 주민석 2013  234
257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장기이식등록기관 종사자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시군구 보건소 공무원을 중심으로 / 김양호 2010  234
2578 15 유전학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본유전자 편집 특허의 제문제 / 진영진 2018  233
» 1 윤리학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권건보 2013  233
2576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의 방향: 인구정책적 관점 / 이철희 2018  233
2575 15 유전학 현행 생명윤리법상 유전자편집기술의 법적 쟁점 / 황만성 2017  233
2574 15 유전학 CRISPR/Cas9 시스템 기반 무당질항체 생산용 마우스 제작을 위한 마우스 유래 세포주 NIH-3T3 세포에서의 Ighg 유전자 교정 연구 / 이난이 2017  233
2573 18 인체실험 국내 및 해외의 임상시험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 지침의 현황 / 이보람, 이경은 2016  233
2572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
2571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수가정책이 국내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의료기기 업체를 중심으로 / 박용철 2014  233
257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 이정란 2014  233
2569 15 유전학 산전유전진단 및 유전상담의 실제 / 오수영 외 2007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