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법 민사법 2018.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914378 



빅데이터의 보호 및 이용을 위한 법제 연구 : 지식재산권법과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A Legal Study on Protection and Use of Big Data

http://www.riss.kr/link?id=T14914378

  • 저자[authors] 최종모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281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규호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법 민사법 201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데이터 마이닝,데이터 정제 센터. 인공지능,인공지능의 작성물,비식별화조치,정보세,일반 데이터 보호 규칙(GDPR),개인정보보호
  • 소장기관[Holding]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211052)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28622


초록[abstracts] 

우리 사회는 지식정보사회를 넘어 인공지능과 인터넷이 연결된 제4차 산업혁명을 향해가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을 넘어 인공지능 기반의 초지능혁명으로 융합과 초연결사회로 전환된다. 이러한 초연결사회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연계 그리고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기계학습 등이 매우 중요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더욱이 빅데이터는 제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사회에서 주요한 자원이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형태에 따라 정형데이터와 비정형데이터가 있다. 최근 빅데이터 분석은 전통적인 정형데이터보다는 비정형데이터가 더 중요하며, 그 활용도도 높아졌다. 데이터 수집의 주체로서는 국가와 민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관련 법률로는 국내는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에 관한 법률과 국외는 유럽연합의 일반 데이터 보호 규칙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따라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을 함에 있어서 정형데이터에서는 개인정보보호쟁점과 비정형데이터에서는 지식재산권 쟁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지식재산권쟁점으로는 저작권법상 데이터 마이닝의 허용여부와 인공지능의 저작자해당여부 및 인공지능의 작성물에 대한 저작물해당여부 그리고 인공지능의 데이터베이스제작자여부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특허법상으로는 인공지능의 발명자성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비정형데이터인 저작물에 대한 저작재산권은 개인의 재산권에 해당된다. 따라서 데이터 마이닝을 저작재산권제한사유로 규정하더라도 재산권침해에 대한 이슈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보상금제도에 대한 입법론을 통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수집데이터로서 인공지능의 작성물을 활용한 경우에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대하여 인공지능의 저작자해당여부 및 발명자성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인공지능의 작성물에 대한 저작권법상의 보호방향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588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7
3587 9 보건의료 의사의 의료행위와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의 범위와 한계 / 정규원 2018  107
3586 18 인체실험 시험 불안과 임상진료시험성적과의 관련성 / 박경민 2019  107
3585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동향 : 한국 자살현상의 특징과 인류학적 연구의 가능성 / 이현정 2010  108
3584 20 죽음과 죽어감 의존상태 노인의 의료에서의 존엄 / 김도경 2014  108
3583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체의 이용과 법적 규율 -인체의 소유권을 중심으로 / 양재모 2010  108
3582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장해순 2007  108
3581 15 유전학 산전검사 대상 질환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최지영 2007  108
3580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3579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 비교를 중심으로/이성경 2016  108
35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에 대한 연구 2015  108
3577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108
3576 9 보건의료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 / 이상일 , 석승한 , 민인순 2017  108
3575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의료정보 재식별에 관한 국제 표준화 동향 - ISO DIS 25237을 중심으로 / 김철중 외 2017  108
3574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08
3573 9 보건의료 치매 진단 검사법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장수현 외 2018  108
357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 정의정 2012  108
3571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측면에서의 『칠극』이해 - ‘해탐’(解貪)을 중심으로 - / 손보미 2018  108
3570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
3569 10 성/젠더 한 중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 가치관 비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