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비판사회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74141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the Experiences of Responding the MERS-CoV outbreak in South Korea

http://www.riss.kr/link?id=A105374141
  • 저자[authors] 전진아(Jina Jun),송은솔(Eunsol Song),박은자(Eun-ja Park),서제희(Jaehee Seo),최성은(Seongeun Choi),김남순(Nam-soon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비판사회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59[2018]

  • 발행처[publisher]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47-38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메르스 유행,현상학적 연구,감염병 예방 및 관리 인력,MERS-CoV outbreak,Phenomenological Research,communicable diseases prevention and control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이하 메르스) 유행 대응에 참여한 사람들의 메르스 대응 당시와 대응 이후 상황에 대한 경험을 반추하고 감염병 예방 및 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총 42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집단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참여자의 언어로 공통된 경험의 본질을 기술하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메르스 대응 참여자의 유행 당시 경험은 ‘준비되지 않은 전쟁에 맞닥뜨린 최일선의 용사’로, 유행 이후의 경험은 ‘끝나지 않은 전쟁에서 잊혀진 용사’로 구조화되었으며, 유행 당시 경험은 총 4개의 상위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 유행 이후의 경험은 총 3개의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로 구조화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중보건위기시의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보 공유와 소통 강화, 위기관리 리더십의 역량 강화와 함께 신종 감염병을 포함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의 최일선에 있는 참여자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by reflecting the experiences of the professionals across a range of sectors who participated in responding to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in South Korea. A total of 42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which is using the descriptions of participants, was adopted to analyse the essence of shared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during the outbreak were structured into four categories and 12 subcategories, and summarized as “frontliners facing an un-prepared war”. The post - epidemic experiences were structured into three categories and seven subcategories, and summarized as “the forgotten warriors in an endless war”. This finding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information sharing, risk communication, and incident management system and crisis management leadership for the better prevention and response with respect to public health crisi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0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활용에 있어 개인정보보호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홍대의 2011  64
4307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 법제정비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이한주 외 2018  64
4306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 이행을 위한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운영방안 / 오선영 2017  64
430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정현정 2017  64
430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4
4303 15 유전학 포스트게놈 시대의 국내 유전체연구 현황 / 이준석 2015  64
430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 지원서비스 요구도 / 김상희 외 2015  64
430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선택적 태아감소술에 대한 의사결정 경험 / 장혜영 2018  64
4300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 / 윤동욱 2018  64
»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429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4297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 사망 원인 및 특성 분석 / 정대현 외 2018  64
4296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2018  64
4295 19 장기 조직 이식 Engineering Human Tissue and Regulation: Confronting Biology and Law to Bridge the Gaps 2001  65
4294 15 유전학 Animal Biotechnology and the Non-Identity Problem 2008  65
4293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4292 9 보건의료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한 2016년 보건의료 주요 현안 2016  65
4291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4290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2014  65
4289 14 재생산 기술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김소라 외 2009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