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구방법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56943 
스마트건강증진서비스 효과성 분석 연구 : 서울시 사례 
= A Study on Measuring Effectiveness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using U-Health system : Focusing on Seoul city

http://www.riss.kr/link?id=A105356943
  • 저자[authors] 오수경(Su Kyung Oh),신창환(Chang Hwan Sh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연구방법논총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No.1[2018]

  • 발행처[publisher]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7-7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사회서비스,바우처,효과성,대사증후군,U-Health 시스템,Social Service,Voucher,Measuring Effectiveness,Metabolic Syndrome,U-Health system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7개 자치구에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스마트건강증진서비스를 1년간 참여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2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서비스 효과성 측정은 서비스를 실시하기 전·후의 대사증후군 변화, 연령대별 대사증후군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대사증후군 측정 항목별 진단 기준에 따른 유소견자 현황을 살펴보고, 대사증후군 유소견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대사증후군은 체질량,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공복혈당,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등 7가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사증후군 측정 항목별 변화에서 서비스 이용 전보다 이용 후 체질량,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공복혈당, 중성지방이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이 증가하여 대사증후군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연령대별 대사증후군 변화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40~60세의 연령대에서 서비스 효과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사증후군 유소견자 감소율은 최소 1.5% ~ 최대 83.3%로 나타났고, 이러한 감소율은 연령대별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사증후군 유소견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7가지 측정 항목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서비스 이용대상의 확대,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별적 서비스 지원방안, 유소견자에 대한 추가서비스 지원, 서울시 종합적 대사증후군관리 차원의 정책으로 보건소 사업과의 연계 또는 조정 등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282 adults aged 19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smart health promotion service of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 in 7 boroughs in Seoul were studied. Service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the changes in the metabolic syndrome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and the changes in the metabolic syndrome by ag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and examined the changes of metabolic syndrome. Metabolic syndrome was measured by body mass,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metabolic syndrome was more significant than before service, and the body mass,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and triglyceride were decreased, and the metabolic syndrome was positively changed by increasing HDL-cholesterol.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etabolic syndrome by age group,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service effect was the highest in the age group of 40-60 years old. Third, the rate of decrease of metabolic syndrome was 1.5%-83.3%. The rate of decreas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tal population and age group. Fourth, only the metabolic syndrome cases showed positive results in all 7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extension of service utilization, provision of discriminative servi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pport for additional services for the suspected persons, and linkage or duplication adjustment with the public health center business with the policy of managing comprehensive metabolic syndrome in Seoul.]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요약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48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1
947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정순화 2012  441
94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성(vulnerability) 판단 기준 재정립과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역할 / 배현아 2011  442
945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부정적 감정 수용과 자살 리터러시의 역할에 대한 탐색 2017  442
944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943 12 낙태 동성결혼 합법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 / 송현정 2016  443
942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941 19 장기 조직 이식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 백민자 2016  444
940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939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및 역할인식 / 유정임 2019  444
93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93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93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에 관한 인간존엄침해여부 논증 : 인간배아복제의 헌법적 허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차수봉 2011  445
935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6
934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2010  446
93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법인격 주체 가능성의 이론적 기틀에 대한 기초 연구 / 한희원 2018  446
932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9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930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929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2003  448